향산 현신규 박사 사료 디지털화 작업 완료! 국민에게 공개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의 산림과학서비스(Know)에서 누구나 활용 가능

사진=산림청


세계적인 임목육종학자로 우리나라 산림녹화에 공헌한 향산(香山) 현신규 박사(1911~1986)의 사료에 대한 디지털화 작업을 완료하고 국민에게 공개한다고 국립산림과학원이 밝혔다.


디지털화된 자료는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의 산림과학지식서비스(https://know.nifo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검색방법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지식서비스(https://know.nifos.go.kr)에 접속하여 ‘Know 서비스’의 ‘데이터통합검색’ 클릭 후 키워드 검색으로 확인할 수 있다.

향산은 1960~1970년대 치산녹화 사업의 기술자문과 더불어 임목육종 기술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녹화사업을 뒷받침했는데, 대표적인 임목육종 성과로는 리기테다소나무와 현사시나무 개발이 있다.

또한, 서울대 농대교수(1949~1976), 학술원 회원(1954~1986), 농촌진흥청장(1963~1965) 등을 역임했으며, 2003년 ‘과학기술인의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고, 임목육종 연구성과는 2015년 대한민국을 이끌어온 대표과학 기술 7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향산의 사료를 보존하고 활용도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0년 공공데이터 개방지원 사업을 통해 사료의 정보화를 추진했으며, 최근 디지털화 작업이 완료되어 국민에게 공개하게 되었다.

이번에 디지털화된 향산 사료는 일제강점기(1940년대)부터 한국전쟁 후 산림복구?사방사업(?) 시기(1950~60년대)를 거쳐 치산녹화기(1970~80년대)를 관통하는 문헌과 서신, 노트, 도화 등 총 2,780점이다.

향산 사료는 2016년부터 추진 중인 ‘산림녹화 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문헌적 근거 자료 발굴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 임정사와 임목육종사를 살펴볼 수 있는 과학사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자원연구과 김인식 과장은 “향산 사료는 개인의 기록물 차원을 넘어 우리나라의 근대 산림정책과 관련 연구 분야를 아우르는 사료적 가치가 크다.”라며 “앞으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향산 사료를 이용해 줄 것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산림과학원은 향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2년 탄신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수원 산림생명자원연구부 구내에 ‘향산사료관’과 ‘향산육종원’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11.30 09:12 수정 2021.11.30 10:3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