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버섯은 대표적인 단기소득임산물 중 하나로, 원목재배와 톱밥재배로 나뉘며, 연간 약 2만 7천 톤이 생산되고 생산액은 2,300억 원에 달한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표고버섯은 중국산 품종으로 국내 표고 생산자들의 수익성을 개선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국산 품종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고품질 표고버섯 신품종 ‘태향고’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태향고는 톱밥재배용 버섯이며, 버섯 발생 온도가 5-15℃ 범위로 늦가을과 이른 봄에 생산이 적합한 저온성 품종이다.
태향고는 버섯이 크고 단단하며, 식감이 우수하다. 또한, 갓이 두껍고 다른 품종에 비해 천천히 펴지며 대가 굵고 버섯의 무게도 무겁다. 다른 품종보다 크기 때문에 스테이크 등 각종 요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표고버섯에는 대표적인 생리기능 물질인 베타글루칸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베타글루칸은 면역력을 높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해주는 물질로 암세포의 활동을 억제한다.
또한, 표고버섯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일종인 에르고티오네인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인체 내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에리타데닌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콜레스테롤 저하와 혈압 조절에도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표고버섯에는 단백질,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D, 무기질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현재 태향고는 품종 출원 후 등록을 위한 재배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품종 등록 후 재배를 원하는 지자체 및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산림미생물연구과 한심희 과장은 “첨단 생명공학 육종 기술을 적용하여 소비자와 생산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품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국내 재배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국산 품종의 자급률을 높이겠다.”라고 밝혔다.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고품질 표고 품종, '태향고' 개발
국산 표고 품종 재배 확대 및 자급률 증대에 기여
등록기자: 서문강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1.12.02 09:37
수정
2021.12.02 11:0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사람들은 내게 묻지요. 어떤 유산을 남길 것이냐고, 내가 밟은 땅속에 ...
통일부는 광복절인 내일부터 전 국민이 참여하는 「2025 통일문화 콘텐츠 공모전...
사랑의 생채기가 있는파란 눈의 여인이 고혹적인 눈을 살짝 감았다가 뜨는...
안녕하세요. 강라희입니다. 과부하 걸린 뇌는 달콤한 설탕을 원...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첼리스트 이수아 ‘산티아고에서 사랑을 완성하다’영국 황태자가 후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