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북경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실행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에 먹구름

사진=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코스미안뉴스 DB


미국이 6일(현지시간) 중국의 신강 위구르 자치구와 홍콩 등에서의 인권 탄압을 문제 삼아 북경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입장을 발표했다. 오는 9~10일 약 110여개 국이 참여 예정인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 내려진 조치라 파장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이 이같은 외교적 보이콧 입장을 발표함에 따라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서방국들을 중심으로 동참하는 국가들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적 보이콧은 올림픽에 선수단은 파견하되 올림픽 행사 때 외교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외교적 보이콧 이유에 대해 "신강 자치구의 집단 학살과 반도인적 범죄, 기타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간 미국 의회에서는 공화당을 중심으로 신강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유린과 홍콩에 대한 인권 탄압 등을 지적하면서 선수단까지 파견하지 않는 전면 보이콧 주장까지 제기돼 왔다.


그러나 전면 보이콧은 올림픽 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선수단에 대한 불이익 등 과도한 조치라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외교적 보이콧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인권탄압 문제에 대해 강한 항의 표시를 하면서도 선수단의 참여를 보장하는 외교적 보이콧을 선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10여 개국이 화상으로 첨여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 외교적 보이콧 조치를 발표하였으며 중국은 이번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초청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경 동계올림픽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한 모멘텀으로 삼고자 했던 문재인정부의 구상은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우리의 결정을 동맹국들에게 알렸고, 그들 스스로 결정을 내리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선언을 두고 중국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조립견(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만약 미국이 독단적으로 행동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반격하는 조치를 결연하게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천보현 기자
작성 2021.12.07 11:43 수정 2021.12.07 12:0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천보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