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헌식의 역사칼럼] 조선시대 방답진은 사도진 소속이었다

윤헌식

일전에 "임치첨사 홍견의 『도장선생유사』의 사료적 가치"라는 제목으로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글에서 『도장선생유사』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조선시대 전라좌수영 휘하 방답진이 사도진에 속한 곳이었다는 점을 잠시 언급하였다. 그 뒤 방답진이 사도진에 속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사료에 관해 자세하게 문의하시는 분이 계셔서 이 주제를 보다 깊이 들여다보고자 한다.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영은 그 휘하에 5개 고을(官)과 5개 진포(鎭浦)가 있었는데, 보통 이를 간략히 '5관(官) 5포(浦)'라고 부른다. 이들 가운데 5개 진포는 방답진, 사도진, 녹도진, 발포진, 여도진을 말한다. 방답과 사도는 종3품 첨철제사(僉節制使: 보통 약칭으로 첨사로 부른다)가 지휘하는 진포이며, 녹도⋅발포⋅여도는 종4품 만호(萬戶)가 지휘하는 진포였다. 녹도와 발포와 여도는 모두 사도에 소속된 진포이며, 방답은 소속 진포가 없는 곳이었다.

 

​방답진과 사도진 두 곳은 모두 첨사가 지휘하는 동급의 진포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얼마 전 방답이 사도 소속이라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변동명 교수가 쓴 논문 「조선시대 돌산도 방답진의 설치와 그 구조」(『한국사학보』 27, 2007, 고려사학회)가 그 주장이 실린 연구 자료이다. 이 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사이트(kci.go.kr)에 올라 있으며, 전남대학교출판부가 출간한 책 『여수해양사론』(변동명, 2010)에도 실려 있다.

 

​논문 「조선시대 돌산도 방답진의 설치와 그 구조」는 『승정원일기』나 『호남진지』 등의 사료를 근거로 하여 방답이 사도에 소속된 곳이었다고 서술하였다. 단, 이 논문은 방답이 사도에 소속된 것은 '형식상' 그렇다고 설명하면서, 실제 운영은 그 서열이 대등하거나 방답이 사도보다 더 높아 보이는 기록도 있다는 점을 밝혔다.

 

​위 논문은 방답을 사도 소속으로 서술한 사료 몇 가지를 근거로 제시하였는데, 그 외에도 관련 사료가 더 존재한다. 다음은 그러한 사료들을 모아 정리한 것이다. 참고로 아래의 사료들 가운데 (2), (3), (8)은 위 논문에서 제시한 것이다.

 

(1) 홍견(洪堅, 1535~1610년), 『도장선생유사』, 연보

 

신묘년(1591) 8월에 진위장군 수 사도진관 방답수군첨절제사(守 蛇渡鎭管 防踏水軍僉節制使)에 제수되었다.

 

​(2) 『승정원일기』, 인조7년(1629) 3월 12일 무진

 

이정언(李廷彦)을 어모장군 행 사도진관 방답수군첨절제사(行 蛇渡鎭管 防踏水軍僉節制使)로 …

 

​(3) 『승정원일기』, 인조13년(1635) 9월 14일 신유

 

전흡(田潝)을 절충장군 행 사도진관 방답수군첨절제사(行 蛇渡鎭管 防踏水軍僉節制使)로 …

 

​(4) 1630년경 위산보(魏山寶) 교지(장흥위씨 대종회 홈페이지: jhwi.or.kr/forum/11438)

 

정략장군 수 사도진관 방답수군첨절제사(守 蛇渡鎭管 防踏水軍僉節制使)

 

​(5) 『상지3년계묘토역정시별시문무과방목』(경종3년-1723년 계묘년 별시 방목)

 

이수굉(李壽宏) 부(父) 어모장군(禦侮將軍) 행 사도진관 방답수군첨절제사(行 蛇渡鎭管 防踏水軍僉節制使) 이준(以峻)

 

​(6) 『일성록』, 정조23년(1799) 4월 9일 정유 (직함 시행에 관한 명령)

 

방답첨사(防踏僉使)는 사도진관 방답수군동첨절제사(蛇渡鎭管 防踏水軍同僉節制使)로 한다.

 

(7) 『여도비지』(1853), 전라도(全羅道)

 

좌수영(左水營): 사도진관 방답진 수군동첨절제사(蛇渡鎭管 防踏鎭 水軍同僉節制使) 1명(一員)

 

(8) 『호남진지(湖南鎭誌)』(1895), 방답(防踏)

 

진관사도진(鎭管蛇渡鎭)

 

위 8가지 사료들을 살펴보면, 이들 모두 방답진을 '사도 소속(蛇渡鎭管)'으로 서술하였다. 방답진은 중종 17년(1522)에 처음으로 설치된 진포이다. 위 사료에서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이 1591년 기록이므로 방답진은 설치 시기부터 사도 소속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1895년 방답이 폐진될 시기 즈음에 편찬된 『호남진지』에도 사도 소속으로 나와 있으므로 방답진은 조선시대 내내 일관되게 사도 소속이었다고 말하더라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위산보 방답수군첨절제사 임명 교지 - 자료출처: 장흥위씨 대종회 홈페이지 

 

(1)~(5) 사료는 방답진의 지휘관을 종3품 첨절제사(僉節制使)로 기록하였는데, 이에 비해 (6)~(7) 사료는 종4품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로 기록하였다. 방답진의 지휘관 품계가 어느 시점에서 변경된 것으로 보이는데, 조선시대 법전인 『속대전』의 내용을 통해 이 부분이 설명된다.

 

1746년 영조 때 편찬된 법전인 『속대전』의 병전(兵典)-외관직(外官職)은, 전라도에 종4품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 6명(六員)을 증원⋅배치한다(增置)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수군동첨절제사 6명이 배치되는 곳 가운데 하나를 '사도진관 방답(蛇渡鎭管 防踏)'으로 명시하였다. 이 시기를 즈음하여 방답진의 지휘관 품계가 첨절제사에서 동첨절제사로 변경된 것인데, 이는 위 (6)~(7) 사료가 방답진 지휘관을 동첨절제사로 서술한 이유를 명확히 밝혀준다.

 

1785년 정조 때 편찬된 『대전통편』과 1865년에 편찬된 『대전회통』도 『속대전』과 마찬가지로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가 '사도진관 방답(蛇渡鎭管 防踏)'에 배치된다는 규정을 명시하였다. 『속대전』⋅『대전통편』⋅『대전회통』의 방답 관련 기록은 국가 법전을 통해 방답이 사도에 소속된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해준다.

 

 

[참고자료] 

변동명, 「조선시대 돌산도 방답진의 설치와 그 구조」, 『한국사학보』 제27호, 2007, 고려사학회

변동명, 『여수해양사론』, 2010,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상지3년계묘토역정시별시문무과방목(上之三年癸卯討逆庭試別試文武科榜目)』

한국고전종합DB, 『승정원일기』/『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여도비지(輿圖備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호남진지(湖南鎭誌)』

김정기, 『도장선생유사』, 2024, 율곡연구원

장흥위씨 대종회 홈페이지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시대 사료 DB, 『속대전(續大典)』/『대전통편(大典通編)』/『대전회통(大典會通)』

 

 

[윤헌식]

칼럼니스트

이순신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저서 : 역사 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이메일 : thehand8@hanmail.net

 

작성 2025.08.01 10:25 수정 2025.08.01 11:1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2025년 7월 17일 꿈꾸는씨앗결손아동후원하기
라이브커머스 전성시대 케이미디어스튜디오와 함께하세요 #ai영상
여름하늘
아기고양이가 세상을 배워가는 방법
장마가 만든 탁류
2025년 7월 26일
새의 영토
대구변호사 | 성매매 장부 적발! 처벌 피할 수 있을까? #shorts
여름하늘
잠자리가 날아가는 하늘
의자가 있는 풍경
아기고양이의 사냥 본능
ai영상 순천만칠게빵 cf홍보영상 국제온라인6차산업협회 #마크강
여름하늘
아기꽃냥이
냇가
강아지풀이 통통해지면 가을이 온다
길고양이
소와 여름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