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계봉의 인문기행] 시로 읽는 ‘그곳에 가고 싶다’

인도 카주라호(Khajuraho) 에로틱 사원

여계봉 선임기자

인도 카주라호(Khajuraho) 에로틱 사원



힌두교의 신은

창조(Generate)의 신 브라만

유지 보호(Operate)의 신 바시니

파괴(Destruction)의 신 시바

 

이 신들의

영어 첫 글자를 모으면

희한하게도 GOD

 

오전 여섯 시

하늘은

어둠을 걷어내지 못하고 있지만

여행자들은 느린 발걸음으로

카주라호 사원의

새벽을 연다



1000여 년 전

최고의 번영을 누린

인도 찬델라 왕조가 건설한

힌두교 예술의 보고

카주라호 사원

 

서부 사원군에

들어서자마자

마음의 준비부터

단단히 해야 한다

 

락슈마나 사원

상단부에는

적나라한

카마수트라 성애 부조가

외벽을 뒤덮고 있다




미투나는

19금 남녀상열지사 보다

더 야한 남녀 교합상

다른 종교에서 금기시하는

성행위 조각이기는 하지만

 

작품의 섬세함과 작품성은

절로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허리를 180도로 꺾은 여성

그 뒤에 서 있는 남성

이렇게 가뿐하게

몸을 꺾을 수 있는 것은

요가의 유연함 때문인데 

 

바로 옆에서

코끼리가 싱긋 웃고 있다



인도 역사에서

코끼리가 등장하지

않는 곳이 없는데

 

인도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힌두 신 중 하나가

 

얼굴은 코끼리인데

몸은 사람인

코끼리 신 가네샤

 


칸다미야 마하데바 사원은

카일라스산의 동굴에서

깨달음을 얻은

시바 신에게 바쳐진 사원



탑 전체가

힌두의 신들과

남녀가 서로 얽혀

노골적인 애욕의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부조물로 가득

 

힌두교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독립된 상태는

불완전성으로 인식하는데

 

불완전성을

해소하기 위해

하나가 되는 순간을

영원한 진리로 인식하는

탄트리즘 사상이 깔려있다

 

 

태양의 신

수리아를 모신

치트라굽타 사원

어두컴컴한 통로를 지나

사원 안으로 들어가면

향내가 진동하는

사원의 중앙에

원통 모양의

커다란 대리석이

떡하니 버티고 있는데

 

이 돌이

힌두교가 숭상하는

생명의 근원

시바 신의 링가(Linga)

 


시바 신을 모신

비슈바나타 사원은

 

작은 탑들이

힌두교의 성산

카일라스를 상징하는

시카라의 정점을 향해

하늘을 향하고 있다

 

 

이 사원도 예외 없이

사랑의 조각

미투나를

숨은그림찾기 하듯

찾아내

살며시 말을 걸어본다

사원 밖에는

인도 처자가

시바 신에게

바친 성수를

바닥에 뿌리고 있는데

 

이 처자는

무엇을 소원하였을까



자이나교 사원들이 모인

동부 사원에서

가장 큰

파르스바나트 사원

 

고행과 금욕주의

수도 생활을 통해

진리를 깨우치는데

소유를 버려야

자유를 구현한다 하여

승려들은

나체로 수행한다

 


인간 본성의 쾌락과

정신적인 행복의 표본


카주라호 성애 사원은

에로틱 문화유산의 최고 진수



()이란 무엇인가

 

몸에 들끓고 있는

욕망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이며

 

그것을 극복하여

해탈로 가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라는

힌두교적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서로에 대한

사랑이 확인되는 성

 

생명을 잉태하는 성은

아름다운 것이 아닐까

 

카주라호 사원을 나오면서

문득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

성 해방을 외치며

시대를 앞서나갔던

자유주의자

마광수 교수

 

카주라호 사원의 미투나를

본 사람이라면

과연 그에게 돌을 던질 수 있겠는가.


 

 

여계봉 선임기자

yeogb@naver.com





 

여계봉 기자
작성 2021.12.13 12:35 수정 2021.12.13 13:0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여계봉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