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김국성, 청와대에 북한 간첩 근무 후 북한 복귀 사실 폭로

지난 10월 BBC 인터뷰 후 다시 국내 '시사저널'과 인터뷰

사진=BBC 캡처


시사저널이 13일 "청와대에 북한 간첩이 근무하다 북한으로 복귀했다"는 주장을 하는 탈북자 김국성 씨를 인터뷰한 내용을 보도하여 큰 파장이 일고 있다. 김국성씨의 이번 인터뷰는 지난 10월 11일 영국 BBC와 했던 인터뷰 내용에 대해 국정원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한 것에 대한 재반박 성격이라고 시사저널이 밝혔다.


김국성씨는 앞서 BBC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공작원을 파견해 청와대에서 근무하다 북한으로 무사히 돌아간 사례가 있다. 그것은 1990년대 초반의 일이다. 그는 청와대에서 5~6년간 근무한 뒤 무사히 돌아가 노동당 314연락사무소에서 일했다."라고 밝힌 바 있다.


김국성씨는 이날 시사저널에 "청와대와 국정원이 세계적 망신을 당할 수 있고, 국민의 규탄을 받을 만한 일이니 그렇게 발뺌하는 걸 십분 이해하지만 북한 공작원의 청와대 근무는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국성씨는"박명수로 알고 있는 이 사람은 1976년 한국으로 직파된 첫 부부 공작조 중 한 짝으로 김영삼 대통령의 청와대에서 근무하다 1994년 북으로 복귀했다. 이후 대남 자료의 총본산이라 할 정찰총국 소속 314연락소 10과(특수과)에서 일했다"고 시사저널에 밝혔다.


김국성씨는 시사저널에 "BBC 인터뷰 때 북한의 공작원이 청와대에 들어가 근무했다고 내가 말하니까 다들 넥타이 매고 일하는 비서관이나 행정관만을 생각하더라"면서 "박명수는 기술 업종, 그중에서도 공조 계통을 담당하는 일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인터뷰에서 김국성씨는 "냉난방을 담당하는 공조 기술자는 건물의 구조를 다 꿰고 있을 수밖에 없고 이 때문에 북한이 청와대를 밑창 나도록 다 들여다보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유사시 공조 시스템을 통해 독가스 살포 같은 테러를 벌여 폭삭 내려앉힐 수 있다. 박명수는 평양 귀환 후 공화국 영웅칭호를 받았고, 문수동에 아파트도 배정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김국성씨는 이날 시사저널과의 인터뷰에서 2009년 북한 정찰총국이 탈북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암살을 위한 상무조(T/F팀)을 조직했고, 책임자는 김영철이었고 밝혔다.


김씨는 '정찰총국 대좌'로 알려진 자신의 정확한 신분과 관련해 "정찰총국에서 대남 및 해외정보를 담당하는 5국의 부국장급으로 보면 맞다"고 시사저널에 밝혔다. 김씨는 2014년 3월 부인과 딸을 데리고 체류지인 중국을 벗어나 서울로 망명했다. 김씨는 탈북하게 된 결정적 동기를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의 몰락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명 기자
작성 2021.12.14 10:45 수정 2021.12.14 11:5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