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국민이 고른 가장 적절한 다듬은 말은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

국립국어원 새말모임, 71개 외국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사진=코스미안뉴스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어려운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어 선정한 말 중에 국민이 고른 가장 적절하게 다듬은 말은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은 반려동물의 실종이나 죽음으로 상실감, 슬픔, 울감, 절망감 등을 느끼는 현상으로, ‘펫 로스 증후군을 알기 쉽게 대체한 말이다.

 

지난해 1월부터 문체부와 국어원은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우리 사회에 유입된 낯선 외국 용어를 대신할 알기 쉬운 다듬은 말을 선정해 왔다. 올해 다듬은 말은 모두 71개로, 언론사에서 배포한 기사와 공공기관의 보도 자료를 매일 검토해 낯선 외국 용어를 발굴하고 이들 중 공공성이 높거나 국민 생활과 밀접한 용어를 중심으로 새말모임에서 논의한 ,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이하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최종 선정했다.

 

문체부는 국민 수용도 조사에서 외국 용어에 대한 인지도, 접촉 빈도, 이해도와 함께 정부나 언론에서 외국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국민 의견을 조사했다. 또한 국어원이 마련한 다듬은 말의 적합도도 함께 파악했다.

 

그 결과, 올해 우리말로 다듬기 위해 발굴한 어려운 외국 용어 중 쉽게 바꾸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용어는 긱 워커’(80%)로 나타났다.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임시로 단기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를 뜻하는 긱 워커를 문체부와 국어원은 초단기 노동자로 다듬었다. 다음으로 응답자의 78% 이상이 빈지 뷰잉, 빈지 워칭’, ‘피버팅’, ‘리걸테크등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야 할 외국 용어로 보았다.


 



올해 다듬은 말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는 98% 이상이 펫 로스 증후군대체한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펫코노미를 대체한 반려동물 산업을 가장 적절하게 다듬은 말이라고 꼽았다. 이 외에도 응답자의 97% 이상이 크래프팅(자신의 업무 가운데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을 자발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시키거나 발전시킴으로써 업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는 일)’을 다듬은 자발적 직무 설계, ‘플러스 옵션(기본 선택 사항 외에 일부 사항을 수요자가 추가하는 방식)’을 다듬은 추가 선택제, 추가 선택권, 추가 선택 사항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새말모임을 거쳐 선정된 다듬은 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른 대체어가 있다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사회 곳곳에서 알기 쉬운 말을 활발히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2022년에는 다듬은 말의 공감대를 높이고자 새말모임성원을 보완할 예정이며, 공공기관, 언론사 등과 협력해 다듬은 말이 널리 쓰일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참고) 코로나19 관련 쉬운 우리말 대체어

 

어려운 외국어

쉬운 우리말 대체어

팬데믹

(감염병) 세계적 유행

에피데믹

(감염병) 유행

글로브 월

의료용 분리벽

언택트 서비스

비대면 서비스

엔데믹

(감염병) 주기적 유행

트윈데믹

감염병 동시 유행

풀링 검사

취합 (선별) 검사

윈도 스루 검진

투명창 검진

페이스 실드

얼굴 가림막

스니즈 가드

침방울 가림막

지표 환자

첫 확진자

(n)차 감염

연쇄 감염, 연속 감염

드라이브스루 진료

승차 진료, 승차 검진, 차량 이동형 진료(또는 검진)

비말

침방울

진단 키트

진단 도구(모음), 진단 (도구) 꾸러미

의사 환자

의심 환자

트래블 버블

비격리 여행 권역, 여행 안전 권역

코로나 블루

코로나 우울

코로나 레드

코로나 분노

코로나 블랙

코로나 절망

코로나 쇼크, 코로나19 쇼크

코로나 충격

부스터 숏, 부스터 샷

추가 접종

롱 코비드

코로나 감염 후유증

 

 새말모임에서 만든 대체어 목록(2021)

 

대상어(원어)

다듬은 말

의미

발표

1

백 브리핑

(back briefing)

덧보고

공식적인 보고가 끝난 이후 비공식적으로 이어지는 보고.

210118

2

트래블 버블

(travel bubble)

비격리 여행 권역,

여행 안전 권역

코로나19 상황에서 두 국가 이상의 방역 우수 지역이 서로 자유로운 여행을 허용하는 것.

210118

3

피버팅

(pivoting)

전략 급선회

갑작스러운 위기가 발생하거나 외부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업무 추진 방향이나 대응 방식, 목표 등을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

210118

4

긱 워커

(gig worker)

초단기 노동자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임시로 단기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 계약 기간은 몇 시간 또는 며칠 정도의 아주 짧은 기간도 해당될 수 있다.

210125

5

북 아트

(book art)

책 꾸밈

창의적 요소를 더하여 책의 표지나 속지 등을 예술적으로 꾸미는 일 또는 그렇게 꾸민 책.

210125

6

젠더 프리 캐스팅

(gender free casting)

탈성별 배역 (선정)

연극이나 영화에서 성에 의한 제약이나 차별을 최대한 배제하여 배역을 정하는 일.

210125

7

디엠

(DMdirect message)

쪽지

누리 소통망(SNS) 사용자들이 각각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서로 주고받는 말.

210201

8

메타버스

(metaverse)

확장 가상 세계,

가상 융합 세계

3차원 가상 세계에서 자신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인물이나 분신을 통해 서로 교류하고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을 함으로써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 또는 그러한 세계를 이르는 말.

210201

9

필터 버블

(filter bubble)

정보 여과 현상

인터넷 정보 제공자가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도를 분석해 적절한 정보를 골라서 제공함에 따라, 이용자가 선별된 정보만을 제공받게 되는 현상. 이용자는 자칫 편향된 정보나 특정 성향의 기사 등만 접하게 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210201

10

빈지 워칭
(binge watching)

몰아 보기

방송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시리즈물 따위를 한꺼번에 여러 편 몰아서 보는 일.

210208

11

쿠키 영상

(cookie 映像)

부록 영상

영화나 드라마에서 본편이 끝난 후에 추가로 짧게 나오는 영상. 엔지(NG) 장면이나 후일담, 속편 예고 등이 있다.

210208

12

크라우드 워커

(crowd worker)

대규모 참여형 노동자

기업의 생산, 서비스와 같은 활동에 의견을 제안하거나, 자료를 검토하는 등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방식에 참여자로 일하는 사람.

210208

13

디지털 디톡스

(digital detox)

디지털 거리 두기

디지털 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사람들이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

210217

14

코로나 레드

(corona red)

코로나 분노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짜증이나 분노.

210217

15

코로나 블랙

(corona black)

코로나 절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절망감이나 좌절감.

210217

16

크로스 미디어

(cross media),

크로스 미디어 기법

(cross media 技法)

매체 다양화 기법

어떤 사항이나 내용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대중에게 노출하는 방법.

210217

17

메디컬 푸어

(medical poor),

메디 푸어

(medi poor)

의료 빈곤층

과다한 의료비 지출로 인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사람. 또는 그런 계층.

210302

18

스테이케이션

(staycation)

근거리 휴가

휴가철에 먼 곳으로 떠나지 않고 집이나 집 근처에 머물면서 휴가를 즐기는 일.

210302

19

워커밸

(worker-customer balance,

worker and customer balance)

주객 평등

소비자도 근로자에게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의미로, 근로자와 소비자 사이의 감정적·태도적 균형을 일컫는 말.

210302

20

애슬레저

(athleisure)

일상 운동복

가벼운 운동을 하기에 적합하면서 일상복으로도 편히 입을 수 있는 옷을 일컫는 말.

210308

21

포모 증후군

(FOMO 症候群

Fear Of Missing Out 症候群)

소외 불안 증후군

대세에서 소외되거나 남들보다 뒤처지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현상. ‘fear of missing out’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다.

210308

22

펀슈머

(funsumer)

오락적 소비자

물건을 구매할 때 재미있는 상품을 선호하거나, 소비 과정에서 실용성보다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소비자.

210315

23

캄테크

(calmtech)

자동 편의 기술

이용자가 세밀히 조작하거나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인공지능, 컴퓨터, 감지기 등의 첨단 기술과 장비를 활용해 세세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210315

24

고스팅

(ghosting)

고용 잠적

직장이나 면접 등에 나오기로 약속해 놓고 별다른 연락 없이 나타나지 않는 것. 주로 직장의 면접 대상자나 신입 사원들의 이러한 행동을 일컫는다.

210315

25

펀 세이빙

(fun saving)

놀이형 저축

가입자에게 유리한 금리보다는 재미있는 방식으로 저축을 유도하는 금융 상품.

210322

26

인슈어테크

(insurtech)

보험 정보 기술

거대 자료, 인공 지능, 가상 화폐, 사물 인터넷(IoT) 등의 정보 기술을 활용하는 신상품 보험을 개발하는 등의 보험 산업 기술을 일컫는 말.

210322

27

펜트업 효과

(pent-up 效果)

수요 분출 효과

외부 요인으로 인해 억제된 수요가 그 요인이 해소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

210322

28

실버 서퍼

(silver surfer)

디지털 친화 어르신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를 능숙하게 활용하는 노년층을 이르는 말.

210329

29

슬리포노믹스

(sleeponomics)

숙면 산업,

숙면 경제

숙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상품이나 서비스 등과 관련된 산업 또는 경제 현상.

210329

30

슬립 테크

(sleep tech)

숙면 기술

인공 지능과 사물 인터넷 기술로 수면 데이터를 분석하여, 숙면을 도와주는 용품을 개발하는 기술.

210329

31

리클라이너

(recliner)

각도 조절

푹신 의자

등받이나 발받침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안락의자.

210329

32

웰에이징

(well-aging)

건강 노년맞이

노화를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몸과 마음의 건강을 추구하며 나이 드는 것.

210405

33

콜키지

(corkage),

코르크 차지

(cork charge)

주류 반입비

호텔이나 음식점에서 고객이 가지고 온 주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 받는 요금.

210405

34

쇼룸

(showroom)

체험 전시실

특정 제품이나 회사를 홍보하기 위하여 각종 상품을 진열하거나 전시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

210405

35

리빙 랩

(living lab)

생활 실험실

생활 영역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역 주민,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실험을 통해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공간. 또는 그러한 공동체.

210412

36

팝업 가든

(pop-up garden)

반짝 정원

축제나 행사를 진행하는 짧은 기간 동안 조성하여 즐기는 소규모 정원식 공간 및 시설.

210412

37

푸드 리퍼브

(food refurb)

식자재 새활용

맛과 영양에는 문제가 없으나 외관상 상품 가치가 떨어지거나 유통 기한이 임박한 식자재를 적극적으로 구매하는 일. 또는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식품을 만드는 일.

210419

38

오픈 이노베이션

(open innovation)

개방형 혁신 전략

기업이 다른 기업이나 연구기관 등 외부로부터 특정 기술과 정보를 도입하는 동시에 기업 내부의 자원이나 기술을 외부와 공유하면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전략.

210419

39

워케이션

(worcation)

휴가지 원격 근무

원격 근무의 한 형태로, 휴가지에서 휴가와 업무를 병행하는 일. 또는 그런 제도.

210419

40

코로나 쇼크

(corona shock),

코로나19 쇼크

(corona19 shock)

코로나 충격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혼란이나 충격.

210419

41

펫 로스 증후군

(pet loss 症候群)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

반려동물의 실종이나 죽음으로 상실감, 슬픔, 우울감, 절망감 등을 느끼는 현상.

210426

42

잡 크래프팅

(job crafting)

자발적 직무 설계

자신의 업무 가운데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을 자발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시키거나 발전시킴으로써 업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는 일.

210426

43

로컬 크리에이터

(local creator)

지역 가치 창출가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나 자원 등에 혁신적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지역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 주로 지자체나 국가가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거나 퇴색한 지역 문화를 되살릴 목적으로 발굴하여 육성한다.

210426

44

오너 코드,

아너 코드*

(honor code)

명예 규율

특정 단체의 구성원이 그 단체의 명예를 지키기 위하여 준수하는 행위 규범이나 윤리의 원칙.

아너 코드*(비규범 표기)

210503

45

부스터 숏,

부스터 샷

(booster shot)

추가 접종

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추가로 접종하는 것.

210526

46

에이징 커브

(aging curve)

노화 곡선

일정 나이가 되면 운동 능력이 저하되어 기량이 하략하는 현상. 주로 운동선수의 기량을 평가할 때 쓰이는 말이다.

210526

47

다크 스토어

(dark store)

배송 전용 매장

고객이 온라인으로 주문한 상품을 빠른 시간 안에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하는 소규모 물류 거점.

210609

48

하이퍼 로컬

(hyper local)

동네 생활권

기존의 지역(로컬)보다 더 좁은 영역.

210609

49

홈코노미

(homeconomy

home+economy)

재택 경제 활동

집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제 활동.

210623

50

디마케팅

(demarketing)

수요 축소 (전략)

기업이 자사 상품의 판매량을 줄이려는 마케팅 활동.

210623

51

비치코밍

(beachcombing)

해변 정화

바닷가로 떠밀려 온 표류물, 쓰레기 등을 거두어 모으는 행위를 빗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10707

52

리셀 테크

(reselltech)

재판매 투자

인기 있는 물건을 제 가격이나 비교적 싼 가격에 사서 비싸게 되팔아 돈을 버는 일.

210707

53

인링크

(in link)

내부 연결 (방식)

사용자가 검색한 정보의 결과를 그 사이트 내에서 찾아 보여주는 방식.

210721

54

아웃링크

(out link)

외부 연결 (방식)

사용자가 검색한 정보의 결과를 클릭하면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식.

210721

55

데스크테리어

(deskterior)

책상 꾸미기

사무실 등의 책상을 꾸미는 일.

210721

56

오너 리스크

(owner risk)

경영주발 악재

대주주(지배 주주)와 관련된 사건이나 대주주의 독단적 경영이 회사에 큰 손해를 끼치는 것.

210804

57

포지티브 규제

(positive 規制)

최소 허용 규제

법률이나 정책에서 최소한으로 허용하는 것 외에는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규제.

210804

58

리유저블 컵

(reusable cup)

다회용 컵

외관은 포장 구매용 종이컵과 같지만 재질이 특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컵.

210818

59

레몬 마켓

(lemon market)

정보 불균형 시장

판매자보다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적은 소비자들이 속아서 살 가능성을 우려해 싼값만 지불하려 하고, 이로 인해 저급품만 유통되는 시장.

210818

60

쿨링 포그

(cooling fog)

안개형 냉각,

안개형 냉각수

주변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물. 또는 그런 장치.

210901

61

홈루덴스

(home ludens)

집놀이족

바깥에서 활동하기보다는 집에서 놀이를 즐기며 휴식을 취하는 사람.

210901

62

마이너스 옵션

(minus option)

제외 선택제,

제외 선택권,

제외 선택 사항

기본 선택 사항에서 일부 사항을 수요자가 선택하지 않는 방식.

210915

63

플러스 옵션

(plus option)

추가 선택제,

추가 선택권,

추가 선택 사항

기본 선택 사항 외에 일부 사항을 수요자가 추가하는 방식.

210915

64

케어 푸드

(care food)

돌봄식, 돌봄 음식

노인이나 환자 등 특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한 이들에게 각기 필요한 영양분이 들어가도록 한 음식.

211006

65

비즈 매칭

(biz-matching)

사업자 연계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과 기업, 단체와 기업, 기업과 기업 등이 협업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일.

211020

66

벌크 업

(bulk up)

근육 키우기

식사량 조절과 강도 높은 운동을 통하여 근육량을 늘리고 체격을 키우는 일.

211020

67

롱 코비드 (long Covid)

코로나 감염 후유증

코로나19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에게 증상 발현 후 나타나는 후유증. 일반적으로 코로나19 발병 후 3개월쯤부터 호흡 곤란, 인지 장애, 피로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며 최소 2개월 이상 지속된다.

211103

68

펫코노미

(petconomy

pet+economy)

반려동물 산업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을 이르는 말. 주로 간식, 영양제, 의류 등 반려동물용품이나 교육, 의료 서비스 등을 이른다.

211117

69

푸드테크

(food tech)

첨단 식품 기술

식품 산업과 식품 관련 산업에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기술 등 4차 산업 기술을 적용하여 식품의 생산이나 가공 과정 등을 관리하는 기법.

211117

70

리걸테크

(legaltech)

법률 정보 기술,

법률 정보 기술 서비스

각종 법률 서비스를 구현하는 정보 통신 기술, 또는 그런 기술을 활용하는 서비스. 변호사 검색, 법률 상담 신청, 법령 검색 등을 구현 또는 서비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11201

71

그린 포트폴리오

(green portfolio)

친환경 수익 전략

친환경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등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거나 환경을 보전하는 사업 전략.

211201




서문강 기자
작성 2021.12.15 10:34 수정 2021.12.15 10:5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