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코시스 한류 큰잔치’ 온라인으로 개최

한국을 세계에 알려 온 외국인 모두 모여 축제를 즐기다

사진=문체부


올 한 해 동안 한국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린 외국인 한국문화 홍보전문가들과 함께 온라인으로 ‘2021 코시스 한류 큰잔치(K-healing On Festival)’를 열었다. 이번 축제는 코리아넷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했다고 문체부가 밝혔다.

 

‘2021 코시스 한류 큰잔치에서는 코리아넷 우수 명예기자와 외국인 한국문화홍보 우수 활동가(케이인플루언서, K-Influencer), 국제 한류 콘텐츠 공모전 토크토크코리아(Talk Talk Korea)’ 분야별 1등 수상자에게 상을 수여하고 우수콘텐츠 소개, 주요 홍보활동 영상 상영 등을 진행했다. 이어 인기 케이팝 가수 이달의 소녀와 공민지가 축하공연을 펼쳤다.

 

올해 코리아넷 우수 명예기자로는 아르헨티나 한국 이민자 1세대 인터뷰와 김치 기사 등 시의성 있는 기사들로, 스페인어권 최다 기사를 보도한 아르헨티나의 아라셀리 로사리오 마리엘 곤살레스(Araceli Rosario Mariel González) 씨 등 13명을 선정했다. 외국인 한국문화홍보 활동가 부문에서는 포대기를 소개하면서 드라마 <오징어게임>을 재치 있게 따라 한 영상을 작한 콜롬비아의 비비아나 파티노 로드리게즈(Bibiana Patino Rodriguez) 씨 등 8개 팀이 상을 받았다.

 

토크토크 코리아공모전에서는 오디션[케이팝 뮤직비디오(영상), 한복 화보(영상), 현대 국악(영상)], 도전[한국 장기자랑(짧은 영상), 한국 전통문화(일러스트), 한국 순간 사진(사진)], 특별[한국 매체예술(미디어아트 영상), 해문홍 캐릭터 이모티콘(일러스트), 복면 가수(짧은 영상)] 3개 부문 9개 주제1, 10개 수상 작품*을 선정해 발표했다. 그중 직접 제작한 한복을 입고, 볼리비아 명소를 배경으로 한복 영상을 촬영한 에리카 파비아나 오레야나 미란다(Ericka Fabiana Orellana Miranda, 볼리비아) 씨의 작품이 한복 화보 주제에서 1등을 차지했다.

 

세계 각국 한류 팬들은 이번 온라인 행사에 참여해 댓글로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다양한 언어로 실시간 소통하며 즐겼다. 40여 분간 진행된 유튜브 생중계에는 최고 10,267, 평균 7,960명이 동시 접속했, 누적 시청 조회 수는 1,234,798건을 기록했다.

 

해외문화홍보원(해문홍)은 온라인 생중계를 보지 못한 국내외 한류팬들을 위해 코리아넷 유튜브 채널과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 전시관인 코리아월드(Korea World)’ 통해 녹화 영상을 공개한다. 또한 1226()27()에는 아리랑티브이(TV)에서 방송으로 볼 수 있다.

 

해문홍 박정렬 원장은 외국인들이 자신들의 시각에서 만든 한국 소개 콘텐츠는 참신하고 다양한 내용이 많아 우리가 직접 만든 콘텐츠보다 홍보 효과가 매우 높다.”라며 앞으로도 코리아넷 명예기자단, 한국문화홍보 활동가 등 우수한 외국인 홍보 인력을 선발하고 역량을 강화해 해외 현지 맞춤형 홍보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12.17 09:58 수정 2021.12.17 10:1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