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특별전 <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 治石 >

돌을 예술로 승화시킨 백제인의 석조 테크놀로지



흔한 돌을 보석과 같이 다룬 백제인들의 시각과 뛰어난

석조 테크놀로지를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


국립부여박물관과 사비고고학연구회는 공동으로 20211221()부터 202258()까지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사비 백제 브랜드 활성을 위해 마련한 특별전으로백제인들이 돌을 어떻게 다루었나를 주제로 석조 테크놀로지를 조명한다.

 

전시 구성은 1. (돌을) 조각하다, 2. (돌을) 조립하다, 3. (돌을) 다스리다라는 3가지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1(백제인, 돌을 조각하다)에서는 백제권의 풍부한 돌 산지 정보와 돌을 가공한 도구를 소개한다. 그리고 백제의 생활에서 사용한 다양한 돌 조각품을 다룬다. 여기에는 투박하지만 단순함이 특징인 절구를 비롯해 용기와 추 등 도량형으로 표현된 척도에 이르기까지 백제인의 손에서 탄생한 여러 가지 생활용품을 보여준다.


2(백제인, 돌을 조립하다)에서는 마치 조립 블록과 같이 돌에 난 홈과 턱으로 구성된 건축 자재를 비롯하여 돌과 돌을 결구(結構)하는 데 쓰인 장치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세계유산인 부여 나성(羅城)을 비롯한 백제의 주요 유적이 작은 돌 하나하나가 모여 만들어졌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특히 이 코너에서는 도수관(導水管, 물을 끌어오는 장치)을 비롯하여 부여 나성에서 출토된 명문(銘文) 성돌들이 전시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3(백제인, 돌을 다스리다)에서는 돌로 만들어진 불상(佛像)과 탑() 두 가지 주제를 다룬다. 먼저 불상(佛像) 코너에서는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는부여 군수리석조여래좌상(寶物)’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다가 오랜만에 고향으로 돌아와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선보인다. 또한, 하나의 큰 바위의 4면에 불상을 새긴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은 현재 예산군 화전리에 남아 있는 불상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발굴하여 깨어진 상태로 보관 중이던 불두(佛頭) 편 등을 접합해 현대 기술인 3D 스캔과 프린팅 작업으로 원형을 재현해 보았다.


()을 주제로 하는 공간에서는 국립부여박물관 야외 정원에서 전시하던 부여 구아리 출토 심초석을 특별전에서 보여주며, 심초석과 결합되는 석재 뚜껑을 비롯해 탑 조성에서 보이는 사리장엄구의 형태와 위치 변화를 다루었다특히, 목탑(木塔)에서 석탑(石塔)으로 변화되는 기술발전 과정이 백제(百濟)에서 시작되었음을 영상으로 소개한다. 백제(百濟)의 탑 조영 테크놀로지가 신라(新羅)와 일본()은 물론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석탑 조영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정명 기자
작성 2021.12.22 10:31 수정 2021.12.22 11:1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