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로 된 ‘보라’라는 이름을 가진 이는 많이 있다. 하지만 ‘보라’가 어떤 의미를 지닌 이름인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보라색을 나타내는 말로 생각하는 정도가 고작이다. 대부분 우리말로 된 이름이기 때문에 한글로 ‘보라’라고 표기하지만 ‘寶羅’라는 한자표기를 사용하는 이들도 꽤 있다. 그 寶羅를 한자의 뜻대로 해석해 봐도 이름의 의미가 잘 드러나지는 않는다.
‘보라’라는 이름은 원시어소 [불/bur]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아득한 원시시대부터 인류가 사용하던 말 중에 넓은 벌판을 가리키는 [불/bur]이 있었다. 한국어 ‘벌’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이다. 바닷가 아주 넓은 곳을 지칭하는 ‘갯벌’에도 들어있는 그 [벌]이다. 대구(大邱)를 우리말로 “달구벌”이라 하는데 달구벌의 그 [벌]이다.
삼국사기를 보면 ‘達句伐(달구벌), 比斯伐(비사벌), 音汁伐(음즙벌)’ 같은 지명이 나온다. 거기 쓰인 伐이 바로 우리말 [벌]을 음차한 표기이다. 다르게는 ‘達句火(달구화), 比自火(비자화), 音汁火(읍즙화)’라고도 적었다. 지금은 [벌, 불]의 발음을 구별하지만 옛날 사람들은 [벌, 불]의 발음이 넘나들었으므로 達句伐을 達句火라고도 썼던 것이다. 영남방언에서 [음악, 엄악]을 똑같이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들 지명에 쓰인 ‘伐[=벌], 火[=불]’이 백제에서는 대개 ‘夫里(부리)’로 표기되었다. ‘所夫里(소부리), 尒陵夫里(이릉부리), 竹樹夫里(죽수부리)’ 등에서 보듯, [불→부리]로 연진발음된 형태를 그대로 음차하여 적었다. 이들 지명에 쓰인 [벌, 불, 부리]는 그냥 ‘벌판’만 뜻하는 게 아니라 ‘부락’을 뜻하는 말로 의미가 분화된 것이다.
그 ‘불(=부락)’에 사는 사람을 가리켜 “-불” 혹은 “-부”라 일컬었다. 삼국시대의 인물 ‘아란불(阿蘭弗), 연불(然弗), 예실불(芮悉弗)’이나 ‘거칠부(居柒夫), 이사부(異斯夫), 명림답부(明臨答夫)’ 같은 이름에 쓰인 [-불, -부]가 그러하다.
[불]을 연진발음하면 [부리, 부라, 부루, 부례...]와 같은 식으로 된다. 부여의 해부루왕이나 신라 화랑 부례랑의 [부루, 부례]가 그렇게 하여 나온 것이다.
[불/볼]은 쉽게 넘나든다. [흥부/흥보]를 혼용하는 것은 그러한 연유에서다. [볼]을 연진발음하면 [보리, 보라, 보르, 보례...]와 같은 식으로 된다. TV드라마 「왔다 장보리」의 주인공의 장보리란 이름과 텔런트 금보라라는 이름은 그렇게 하여 나온 것이다. [보리]와 [보라]는 사실상 같은 어원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발음만 살짝 다르게 난 것일 뿐이다.
그러면 ‘보리’나 ‘보라’는 어떤 의미를 지닌 이름인가? 벌판이나 부락을 뜻하는 말이니 그러한 의미도 담겨 있다. 그러한 곳에 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었으니 그러하다. 하지만 언어는 음과 의미가 계속 분화해 왔고, 지금도 끊임없이 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불/bur]에는 크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국어사전에서 ‘불곰’을 찾아보면 보통 곰보다 덩치가 큰 곰을 가리킨다고 설명해 놓았다. ‘벌낫’은 큰 낫을 가리킨다고 설명해 놓았다. 그리고 ‘벌말’은 큰 마을을 일컫는 말이다. [벌, 불]이 지닌 의미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불다(불어나다), 벌다(벌어지다)’ 같은 단어들을 보면 [벌, 불]이 점점 더 커지고 팽창하는 것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돈을 벌다’ 할 때의 ‘벌다’도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같은 어원에서 분화된 말이다. 한자로 치자면 興(흥)에 해당한다. 그러니까 “보리, 보라”는 ‘크게 흥하라, 대성하라’는 뜻을 가진 순우리말 이름인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그 유래를 모르다 보니 다른 의미로 알고 사용하고 있을 뿐.
현대의 한국인들은 [달]로도 소리 나고 [담]으로도 소리 나는 말을 한글의 복자음을 사용해 한꺼번에 “닮”이라고 쓰고 있다. ‘닮았네’는 [달만네]처럼 소리 내고, ‘닮는다’는 [담는다]처럼 소리 낸다. 동일한 [닮]을 [달, 담]처럼 소리내고 있는 것이다. 이를 두고 [달/담]이 쉽게 부전(浮轉)된다는 표현을 쓴다.
그와 마찬가지로 [볼/봄]도 쉽게 부전되었다. [볼]이라고도 하고 [봄]이라고도 하는 말을 한꺼번에 쓴다면 [borm]이라 쓸 수 있을 것이다. 무슨 말인고 하니, [볼→보라]와 [봄→보미], 즉 “보라”와 “보미”는 사실상 같은 어원에서 비롯된 이름이라는 얘기이다.
뿐만 아니라 “보름”이란 이름도 그러하다. [borm]을 늘여서 발음하면 [보름]이다. 음력으로 달이 가장 크게 부풀었을 때를 가리켜 ‘보름’이라 한다. 그 보름이란 단어도 같은 어원에서 분화된 말이다. 하지만 인명의 ‘보름’은 단지 음력 15일의 의미로만 지은 것은 아니다. ‘增加(증가), 隆盛(융성), 繁昌(번창), 大興(대흥)’의 의미를 지닌 이름이다.
우리말로 [보름/borm]이라고 일컫는 말을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적었을까? 입으로는 그렇게 말을 하면 되지만 한글이란 문자가 없었던 때에는 한자를 빌려서 적어야 했다. 그럴 때는 어떤 식으로 적었을까?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甫乙音(보을음)이라고 표기된 인명이 더러 있다. 이를 두고 보름 15일에 태어난 아이라서 그렇게 지었을 거라고 추측한다면 너무 단순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흥왕(興旺)의 의미를 지닌 우리말 이름 [보름]을 한자로 그렇게 음차하여 쓴 것임을 알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보라, 보리, 보름”은 모두 같은 어원에서 비롯된 이름이라 할 수 있는데, “보람” 역시 마찬가지다. 단지 ‘보람있다’는 의미로만 파악할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볼→보라]로 연진발음하는 과정에서 받침소리가 약화 탈락하면 [보아]가 되는 바, “보아”도 같은 어원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보라, 보아, 보리, 보름, 보람”은 크게 흥한다는 의미를 지닌 이름으로 같은 어원에서 비롯된 말이기는 하지만 그 부르는 어감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모두 같은 이름이라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의미도 똑같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언어가 계속 분화해 나가듯이 사람의 이름이 지닌 의미도 조금씩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 다만 그 유래와 연원을 알지 못한 채 황당한 의미를 갖다 붙여 해석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지면상 여기서는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보나”라는 이름도 이들과 같은 의미를 지녔고 같은 어원에서 비롯된 우리말 이름이다.
[작가 최규성] 『계백과 김유신』 『소이와 가이』 『타내와 똥구디』 등의 인명풀이 시리즈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