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태평양 전갱이, 올해 11,540톤까지 어획 가능

전갱이 어획한도량 추가 확보

사진=해수부


올해 남태평양 수역에서 조업하는 우리나라 원양어선의 전갱이 어획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10차 총회(2022.01.18.~28.)에서 우리나라의 2022년 전갱이 어획한도량이 지난해 10,027톤에서 15% 증가한 11,540톤으로 결정되었다고 밝혔다.


* SPRFMO, South Pacific Regional Fisheries Management Organisation, 남태평양 수역전갱이, 대왕오징어 등 비참치어종 보존 및 관리를 위해 2012년에 설립된 국제기(우리나라, 중국, 미국, EU 등 총 15개 회원국으로 구성)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는 2012년에 설립된 이후 전갱이 자원 상태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총허용어획량(TAC)을 설정하고, 각 국가별어획 한도를 할당하는 등 자원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특히, 전갱이 자원 상태가 악화되었던 2013년에는 전갱이 총허용어획량(TAC)을 과학적으로 권고된 44.1만 톤보다 적은 수준인 43.8만 톤으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회원국들의 노력으전갱이 자원이 회복세에 들어섰고,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는 점진적으로 전갱이 총허용어획량(TAC)을 늘려왔다.


* 전갱이 총허용어획량(TAC, ) : (’13) 43.8(’14)44(’15)46(’17)49.3(’19)59.1(’20)68(’21)78.2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는 전갱이 산란자원량이 지속생산가능자원량의 100% 이상으로 회복하였다는 과학적 분석에 따라 이번 제10차 총회에2022년 총허용어획량(TAC)을 지난해 78.2만 톤에서 15% 증가한 90만 톤으로 설정하고, 우리나라에도 전년과 같은 비중인 11,540톤을 할당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이번 10차 총회에서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가 시행하는 옵서버 프로그램 적합성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다. 현재까지 15개 회원국 5원국(한국, 호주, 뉴질랜드, 칠레, 대만)만 옵서버 프로그램 적합성 평가를 통과했. 현재 우리나라의 옵서버 프로그램은 국립수산과학원과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유은원 해양수산부 국제협력총괄과장은 남태평양지역수산관리기구의 이번 전갱이 어획한도량 증가 결정은 과학적 정보에 기반한 책임있는 어업관리의 성공적 사례이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어선이 조업활동을 하는 모든 수역에서 수산자원보호와 해양환경 보호라는 기본 원칙을 지키면서 어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관리하고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작성 2022.02.04 09:38 수정 2022.02.04 10:0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