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 역사문화, 국가가 기록하고 복원해야

도전과 혁신의 나라였던 후백제 정신을 역사 속에 기록하고 복원할 수 있도록 지원 요청



전주시를 비롯한 후백제문화권 7개 시·군이 후삼국시대의 주역이었던 후백제 역사문화를 대한민국 역사로 기록하기 위해 정부 여당에 관련법 개정을 촉구했다.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이하 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승수 전주시장은 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임오경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광명시갑)에게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하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후백제 역사문화권을 포함하는 법안 개정 촉구를 위한 건의서를 전달했다. 협의회에는 현재 견훤왕이 태어난 상주와 문경, 후백제의 왕도 전주, 후백제 유적이 있는 완주·장수·진안, 그리고 견훤왕의 꿈이 묻힌 논산 등 7개 시·군이 참여하고 있다.


김승수 시장은 앞서 지난 3일에도 국회를 찾아 홍영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부평구을)과 채규영 더불어민주당 정책실장, 김영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전문위원 등 주요 당직자들을 차례로 만나 관련법 개정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김 시장은 최근 김성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전주시병)이 대표 발의한 역사문화권정비법이 국회에서 원활하게 개정되는 데 힘을 실어줄 것을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 주요 당직자들을 만난 김 시장은 “후백제는 후삼국시대 국가 중 가장 강력한 기세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나라로, 후삼국시대 정치·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새로운 이념과 지표를 제시하여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자 했다”면서 “견훤의 후백제는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정신과 가차 없는 혁신을 상징하는 당당한 나라였지만, 과거의 역사서와 마찬가지로 그 어디에서도 후백제의 흔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이어 협의회 소속 7개 시·군의 뜻을 하나로 모아 국회에 지역 간 화합과 공동 발전을 위해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후백제를 포함시켜 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이와 관련 지난해 6월 시행된 역사문화권정비법에는 현재 고구려·백제·신라·가야·마한·탐라 등 6개 권역과 지난해 12월 포함된 중원역사문화권과 예맥역사문화권을 포함한 8개 권역이 포함돼 있다. 반면에 후삼국시대 국가 중 가장 강성한 국가이자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 후백제는 이 법안 대상 권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전주시를 비롯한 후백제문화권 7개 지자체는 지난해 11월 26일 후백제의 왕도 전주에서 협의회를 발족시키는 등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후백제를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펼쳐오고 있다. 지난달에는 국회에서 후백제 문화권 지자체 소속 국회의원인 김성주·김종민·안호영·임이자 의원이 주최하고 후백제학회가 주관하는 역사문화권 지정을 위한 후백제 국회토론회도 열리기도 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는 단순히 전주만의 역사문화가 아닌 대한민국의 가장 찬란하고 위대한 역사문화 중 하나”라며 “이제는 기존 8대 문화권에 후백제의 역사를 포함시켜 국가 차원에서 후백제의 역사문화를 올곧이 기록하고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성 2022.02.08 10:30 수정 2022.02.08 10:4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