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옛 주인 ‘독도 강치’ 멸종 원인 과학적으로 입증

‘개체수 추정 모델링’을 통해 무분별한 남획이 멸종 원인으로 확인

사진=코스미안뉴스


해양수산부는 독도 강치(Zalophus japonicus)가 남획에 의해 멸종되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국제 학술지(SCI)에 발표 했다고 밝혔다.

 

* (논문명) The First Population Simulation for the Zalophus Japonicus (Otariidae: Sea Lions) on Dokdo, Korea / (학술지)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

 

부산대학교 이상헌 교수팀은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환동해지역 해양포유류(기각류 ) 서식실태 조사연구를 통해 독도 강치의 적합 개체 수 추정 모델링방식으로 과거 독도 강치의 개체 수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추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도 강치의 멸종 원인이 무분별한 남획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연구팀은 독도 강치의 개체 수가 일본이 독도에서 포획 및 수렵을 시작한 1904년 이후 8년 만에 초기 개체 수(3만 마리)30% 이하인 8,500마리로 급감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연구팀은 이후에도 포획 및 수렵이 지속되어 1930년에는 790마리, 1940년에는 227마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강치는 1974년 일본 훗카이도에서 비공식적으로 관측된 것을 끝으로 더 이상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1994년 독도 강치의 멸종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바 있다.

 

해양수산부는 2007년 독도 강치를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고, 강치를 포함한 기각류 6종을 대상으로 국내?외 서식지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서식지 개선 등의 사업을 시행하는 등 우리 강치의 발자취를 찾기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88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등 우리 해양생물이 독도 강치와 같은 멸종의 길을 밟지 않도록 종 보전전략을 마련하고 관련 연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재영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동해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대표 해양생물이었던 독도 강치가 인간의 무분별한 포획으로 절멸되었다는 것은 해양보호생물의 보호 및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다라며, “멸종된 독도 강치의 전례를 잊지 않고, 우리 바다에 서식하는 고래와 점박이 물범 등 해양생물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작성 2022.02.28 10:49 수정 2022.02.28 10:5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