贈 宗親 號 春湖 詩 증 종친 호 춘호 시
見龍田上有春湖 견룡전상유춘호
不渴猶憑此一湖 불갈유빙차일호
日暖千山花滿樹 일난천산화만수
雨過萬壑水連湖 우과만학수련호
歲寒特立靑靑竹 세한특립청청죽
天旱無關淡淡湖 천한무관담담호
幸我同根如是在 행아동근여시재
再行正似得平湖 재행정사득평호
종친인 춘호에게
빼어난 인물을 보니 마전에는 춘호가 있어
목마르지 않으려고 이 호수에 의지하네.
날이 따뜻하니 온 산에 꽃이 만발하고
비온 뒤 골짜기 물이 호수로 이어진다.
동지섣달 추위에도 우뚝 서서 대처럼 청청하고
가뭄에도 관계없이 호수처럼 담담하네.
다행히 우리 일가에 이런 분이 있으니
다시 가도 틀림없이 잔잔한 호수를 얻으리라.
[이은춘]
해산 이은춘은 1881년 12월 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년 음력 11월 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
그는 세상을 마감하는 날 아침에 속을 깨끗이 비우러 화장실을 다녀와서 장손 이용효에게 "나 오늘 오후에 간다"고 말한 후, 그날 오후에 손녀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사이 좋게 잘 살아라"는 유언을 남기고 86세를 일기로 선승처럼 세상을 떠났다. 발인 날짜와 시간, 장지 묘소의 좌향까지 증손 이봉수에게 미리 알려주고 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