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한복을 가까이함으로써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2019년 업무협약을 체결해 ‘한복교복 보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까지 학교 35개교가 이 사업에 참여해 학생 5,930명이 한복교복을 입게 되었다. 올해는 12개 중·고등학교를 추가로 선정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교육부와 함께 4월 21일(목)부터 6월 30일(목)까지 ‘한복교복 보급사업’에 참여할 중·고등학교 12개교를 공모한다. 접수 기간은6. 7.(화)∼30.(목) 오후 5시까지다.
한복교복을 도입할 학교는 사전에 학생,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한 후에 신청해야 한다. 선정된 학교에는 학부모, 교사 등이 참여하는 학교별 교복선정위원회에서 한복교복 도입을 확정할 수 있도록 설명회 개최를 지원한다. 한복교복 디자인 전문가가 한복교복을 설명하고 실물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한복교복을 최종 도입하는 학교에는 전문가가 한복교복을 학교별 맞춤형 디자인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용성과 한국의 멋 담은 한복교복 디자인 총 130여 종 선택 가능
한복교복 디자인은 2020년까지 개발된 디자인 중 총 81종을 활용하고 있으며, 올해 한복교복 디자인 아이디어 공모와 신규 디자인 개발을 통해 50여 종을 추가 개발할 예정이다. 동복, 하복, 생활복 등 실용적이고 한국의 멋을 담은 총 130여 종의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여 학교와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힐 계획이다. 기존에 개발한 한복교복 디자인은 한복진흥센터 누리집(www.hanbokcenter.kr)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청 방법과 관련 서식 등 공모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누리집(www.kcd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선정 결과는 서류심사 등을 거쳐 7월에 발표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미래세대들이 한복교복을 통해 한복과 더욱 친밀할 수 있길 바란다.”라며, “앞으로 자연스러운 한복 착용 문화가 일상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한복 저변을 확대하고 수요를 창출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 아울러 한류 확산에 힘입어 전 세계에 한복이 우리 고유문화라는 인식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외 교류와 홍보를 계속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