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사용 없으면 출동, 서울시, 고독사 예방 '스마트플러그' 2,000가구 확대

TV 등 자주 쓰는 가전제품 연결, IoT가 전력량‧조도 변화 감지해 위험신호 전송


# ‘스마트플러그는 어르신 등 고독사 위험이 있는 1인가구 가정 내 자주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연결해 전력량을 실시간 확인하고, 일정 시간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동주민센터 담당 복지플래너에게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다. 평소 건강이 좋지 않고 술에 의존하며 홀로 생활하던 송○○ (61, 은평구)는 작년 여름 이 스마트플러그덕분에 위험한 상황을 넘길 수 있었다.


# 송 씨의 집에서 전력 사용이 멈췄다는 신호를 받은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는 송 씨게 바로 전화를 시도했으나 핸드폰 전원이 꺼져있었고, 직접 집으로 찾아가 문을 드려도 응답이 없자 위기 상황임을 직감하고 강제로 문을 열어 송 씨를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다. 기초생활수급자로 형편이 어려웠던 송 씨는 서울형 긴급복지를 통해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발견 당시 영양 상태가 좋지 않아 돌봄SOS센터를 통해 건강과 식습관 등도 주기적으로 관리받고 있다.

 

서울시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로 위기 상황을 감지해 고독사를 예방하는 스마트플러그를 올해 2,000가구에 추가 설치한다. 현재 설치운영 중인 2,709가구(3,351)에 더해 총 4,700가구 이상으로 확대된다.


스마트플러그는 멀티탭 형태로 TV, 전자레인지 등 자주 사용하는 가전제품 플러그를 연결해 사용하는 장치다. IoT 기술이 전력량이나 조도를 감지, 일정 시간(24시간~50시간) 변화가 없으면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에게 위험신호를 전달한다. 복지플래너는 전화나 방문을 통해 즉시 안부를 확인하고 대상자별 상황에 맞는 긴급 조치를 취하게 된다. 고독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플러그는 이용자 상태에 따라 고위험(24시간) 위험(36시간) 일반(50시간)으로 구분해 각각 관리 주기가 사전 설정된다.

 

< 스마트플러그 위험신호 발생시 동주민센터 대응체계 >


서울시는 202010월부터 중장년층 등 고독사 위험 1인가구를 대상으로 스마트플러그 지원사업을 시작, 현재까지 총 2,709가구(3,351*'22. 3월 말 기준)에 설치운영 중이다.

 

14개월 간 스마트플러그를 통해 총 46,974건의 신호가 전송, 이중 실제로 위험 상황으로 판단돼 조치가 이뤄진 건은 154이었다. 알코올 중독으로 건강상태가 열악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혼자서 식사나 이동이 어려운 상황 등이 대부분이었다. 시는 112·119에 긴급조치, 돌봄SOS서비스 연계, 긴급복지(생계비·의료비·주거비) 지원 등 맞춤형 조치를 취했고, 대상자별 사후관리도 지속하고 있다.


< 스마트플러그 위험신호 발생시 동주민센터 대응체계 >

<스마트플러그 설치>

===>

<위험신호 모니터링>

===>

<긴급조치>

고독사 위험 1인가구

가정

스마트플러그 설치

동주민센터 모니터링

실시간 자료전송 및 모니터링

위험신호 감지시

긴급 출동 및 조치

(맞춤형서비스 제공)

 

광진구에 사는 김○○ (58)는 위험신호를 통해 발견됐을 당시 습관적인 음주로 인해 만취 상태였고, 끼니를 제때 챙기지 못해 영양상태가 좋지 않았다. 주거환경도 열악했다. 김 씨는 알코올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음주습관이 주 2회 이하로 개선됐고, 밑반찬 지원 등을 통해 균형 잡힌 식사도 하고 있다. 청소빨래 같은 주거 서비스로 주거 환경도 개선됐다.

 

(단위 : 가구//) 

설치현황

모니터링 결과

위기상황 조치 결과

가구수

개수

위험신호

수신건수

위기상황

해당건수

112,119 긴급조치

후원성품지원

정보상담 등 단순조치

돌봄SOS

서비스 연계

기타 (생계비· 의료비·주거비)

2,709

3,351

46,974

154

154

14

57

30

27

26

 

설치현황 : 22.3월말 기준 시점값, 모니터링 결과 및 위기상황 조치결과 : 20.10.~22.3월말 누적값

위기상황이 아닌 경우 : 기기고장, 기기조작 오류, 대상자 부재(장기출타, 병원입원 등)

 

서울시는 바깥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사회적으로 고립된 1인가구의 경우 공공이나 이웃이 위기 징후를 발견하기 어렵고, 주변에서 위기 징후를 발견하더라도 사생활 침해 등을 우려해 단순 의심만으로 신고하기를 꺼린다는 점에 주목했다.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플러그 사용하면 1인 가구의 일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해 고독사를 예방할뿐 아니라, 개개인별로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연계할 수 있어 보다 촘촘한 관리가 가능하다.

 

서울시는 올해 2,000가구 확대를 위해 9()까지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수요를 파악하고, 설치 가구를 선정해 이달부터 지원을 시작한다. 각 자치구는 설치 대상자 자체조사를 통해 스마트플러그 필요수량에 대한 수요조사 의견을 9일까지 서울시(지역돌봄복지과)에 제출하면 된다. 시는 자치구 필요 수량을 반영해 사업비를 교부할 계획이다.

 

설치 대상은 작년 말 실시한 중장년 1인 가구 실태 조사에서 발굴한 고독사 위험가구(36,265명 추정(고위험 1,872, 중위험 8,421, 저위험 25,972))를 우선한다.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파악한 가구에도 설치할 수 있다스마트플러그는 고독사 위험 1인가구 중 설치에 동의한 사람에 한해 보급되며, 해당 가정을 동주민센터 직원이 직접 방문해 사용 안내를 해주고 설치한다.

 

안현민 서울시 지역돌봄복지과장은 고독사 위험 가구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및 긴급조치가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설치를 통해 사회적 고립가구에 대한 촘촘한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자치구와의 협업을 통해 고독사 위험군으로 발굴된 시민이 위기에 놓이지 않도록 철저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작성 2022.05.03 09:12 수정 2022.05.03 09:3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