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컬처 핏’을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조직 문화 적합성’을 선정했다. ‘컬처 핏’은 기업의 조직 문화 또는 그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채용 대상자와의 적합성을 이르는 말이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대체어 제공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5월 4일(수)에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컬처 핏’의 대체어로 ‘조직 문화 적합성’을 선정했다.
이에 대해 문체부는 5월 6일(금)부터 12일(목)까지 국민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6.4%가 ‘컬처 핏’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다. 또한 ‘컬처 핏’을 ‘조직 문화 적합성’으로 바꾸는 데 응답자의 85%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컬처 핏’처럼 어려운 용어 때문에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조직 문화 적합성’과 같이 쉬운 말로 발 빠르게 다듬고 있다. 선정된 말 외에도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른 우리말 대체어가 있다면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도 문체부와 국어원은 정부 부처와 언론사가 주도적으로 쉬운 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계속 홍보할 계획이다.
대상어(원어) | 다듬은 말 | 의미 |
컬처 핏 (culture fit) | 조직 문화 적합성 | 기업의 조직 문화 또는 그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채용 대상자와의 적합성. 주로 채용 시 지원자를 단순히 정량 평가하지 않고, 조직 구성원과의 교감, 소통, 조직과의 융화 등을 고려한다. |
디제라티 (digerati← digital+literati) | 디지털 지식인 |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지식 계층. |
※ (참고) 코로나19 관련 쉬운 우리말 대체어
어려운 외국어 | 쉬운 우리말 대체어 |
팬데믹 | (감염병) 세계적 유행 |
에피데믹 | (감염병) 유행 |
글로브 월 | 의료용 분리벽 |
언택트 서비스 | 비대면 서비스 |
엔데믹 | (감염병) 주기적 유행 |
트윈데믹 | 감염병 동시 유행 |
풀링 검사 | 취합 (선별) 검사 |
윈도 스루 검진 | 투명창 검진 |
페이스 실드 | 얼굴 가림막 |
스니즈 가드 | 침방울 가림막 |
지표 환자 | 첫 확진자 |
엔(n)차 감염 | 연쇄 감염, 연속 감염 |
드라이브스루 진료 | 승차 진료, 승차 검진, 차량 이동형 진료(또는 검진) |
비말 | 침방울 |
진단 키트 | 진단 도구(모음), 진단 (도구) 꾸러미 |
의사 환자 | 의심 환자 |
트래블 버블 | 비격리 여행 권역, 여행 안전 권역 |
코로나 블루 | 코로나 우울 |
코로나 레드 | 코로나 분노 |
코로나 블랙 | 코로나 절망 |
코로나 쇼크, 코로나19 쇼크 | 코로나 충격 |
부스터 숏, 부스터 샷 | 추가 접종 |
롱 코비드 | 코로나 감염 후유증 |
제로 코로나 | 고강도 방역 |
2022년 새말모임 다듬은 말 목록 |
대상어(원어) | 다듬은 말 | 의미 | 발표 |
ESG 경영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經營) | 환경‧사회‧투명 경영 | 환경 보호와 사회적 기여도를 고려하고 법과 윤리를 준수하며 지배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경영 철학. | 220119 |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 | 디지털 태생 |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성장하여 디지털 기기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세대. | 220119 |
임팩트 비즈니스 (impact business) | 사회 가치 병행 사업 | 사회적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경제적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 | 220216 |
제로 코로나 (zero corona) | 고강도 방역 |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봉쇄 조치를 진행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정책. 주로 호주나 뉴질랜드, 중국 등에서 시행하고 있다. | 220216 |
세이프티 콜 (safety call) | 작업 중지 요청 | 현장 근로자가 위험을 인지했을 때 즉시 작업 중지를 요청하는 것. | 220216 |
코워킹 스페이스 (coworking space) | 공유 업무 공간 | 여러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서로 공유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조성한 협업 공간. | 220216 |
아르피에이 (RPA: Robotics Process Automation) | 업무 처리 자동화 | 인간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알고리즘화하고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 | 220302 |
미코노미 (meconomy←me+economy) | 자기중심 소비 | 자기만족을 위한 소비나 지출 등의 경제 활동. | 220302 |
플라잉 모빌리티 (flying mobility) | 근거리 비행 수단 | 하늘을 나는 이동 수단의 하나. 주로 서너 명 이하가 타며 에어 택시, 드론 택시, 개인용 비행체 등이 있다. | 220316 |
큐레이션 커머스 (curation commerce) | 소비자 맞춤 상거래 | 전시 기획자가 작품을 수집, 전시, 기획하듯이 특정 분야 전문가가 소비자의 성향 등을 고려하여 직접 제품을 고르고 할인한 가격에 파는 전자 상거래. | 220330 |
영 케어러 (young carer) | 가족 돌봄 청년 | 장애, 질병, 약물 중독 등을 겪는 가족을 돌보고 있는 청년. | 220330 |
펫 프렌들리 (pet friendly) | 반려동물 친화 | 반려동물과 밀접하게 관련된 서비스 상품.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 상품, 호텔이나 카페, 식당 등에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해당된다. | 220330 |
클린 뷰티 (clean beauty) | 친환경 화장품 | 유해 성분을 배제하고 환경 보호를 고려하여 만드는 화장품. | 220420 |
로테크 (low tech) | 단순 기술 | 차원이 낮은 단순한 기술이나 기본적인 기술. | 220420 |
에이지리스 (ageless) | 나이 무관 | 어떠한 선택에서 나이에 얽매이지 않는 것. | 220504 |
안테나 숍 (antenna shop) | 탐색 매장 |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전 소비자의 선호나 반응을 파악하여 반영하기 위해 운영하는 점포. | 220504 |
컬처 핏 (culture fit) | 조직 문화 적합성 | 기업의 조직 문화 또는 그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채용 대상자와의 적합성. 주로 채용 시 지원자를 단순히 정량 평가하지 않고, 조직 구성원과의 교감, 소통, 조직과의 융화 등을 고려한다. | 220518 |
디제라티 (digerati← digital+literati) | 디지털 지식인 |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지식 계층. | 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