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 작품에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소설이 있다. 가난한 구두장인 시몬의 이야기로 기독교 신앙이 돋보이는 종교문학작품이다. 신에게 버림받고 쫓겨난 천사 미하일이 길거리의 노숙자 신세가 되어 얼어 죽게 될 상황에서 시몬이 구해주고, 그를 구둣방 조수로 채용하여 벌어진 이야기를 엮은 소설이다.
귀족과의 만남에서 미하일이 가죽을 재단하여 두꺼운 가죽 구두 대신, 부드러운 가죽 슬리퍼를 만들어 미래 일어날 사건을 예측하여 대비한 이야기, 두 아이와의 만남에서 엄마를 잃은 두 아이를 키운 부인의 이야기, 인간계로 내려 온 천사 미하일의 이야기로 꾸며진다.
하느님이 미하일에게 던진 질문 세 가지, ‘사람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다. 그 답을 미하일 깨닫게 되는데, 인간계로 내려온 미하일은 알몸으로 차가운 길바닥에서 웅크리고 있던 자신을 시몬과 마트료나가 대접하는 것을 보고, ‘사람의 마음속에는 하느님의 사랑이 있음’을 깨달았고, 귀족 신사가 1년을 신어도 끄떡없는 구두를 주문했지만 그가 곧 죽을 것을 미하일 자신은 알았기에 구두 대신 슬리퍼를 만들었지만 시몬은 이유를 모르는 것을 보고, 미하일은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임을 자각하지 못하는 것’임을 알았다. 엄마를 잃은 아이들을 사랑으로 키우는 부인을 보고 ‘사람은 사랑으로 산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한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오로지 사랑의 힘으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깨우쳐 주고 있다. 그렇다면 나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누구인가? 지금 내 앞에 있는 사람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통해 사람들에게 선을 행하는 일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은 언제인가? 바로 지금 이 순간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날마다 그때그때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사랑과 선을 다하기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이다. 라고 왜 사는가하는 인생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내린다.
사람은 사랑으로 살아간다. 살이 없는 세상은 지옥이다. 다툼과 증오와 온갖 잡음이 뒤따른다. 우리 교사가 하는 일은 어린이를 가르치는 일이다. 이 얼마나 보람 있는 일인가? 일찍이 공자님도 가르치는 일, 친구와 사귀는 일, 군자가 되는 일을 가장 보람 있는 일이라고 말씀하셨다. 교사는 가르치는 일을 하는 축복받은 사람이다. 그런 교사가 교사로서 직분을 다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자기 연수로 전문직으로서의 소양을 쌓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자신이 아는 것이 많아야 어린이들에게 베풀어 줄 것이 많지 않겠는가? 자신이 보고 듣고 깨달음이 많아야 어린이들에게 많은 깨우침을 줄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우리 교사는 어떠한가? 너무 직업의식으로 자기 연수를 게을리 하고 한번 배은 지식으로 어린이를 가르치지 않았는지 반성해볼 문제다. 돈을 벌기 위해 교직을 선택했다면 잘 못이다. 장사를 했어야 했다. 지위를 탐하기 위해 교직을 선택했다면 정당원이 되었어야 했다. 교사는 생활인이기도 하지만 긍지와 보람 있는 직업이다. 국가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를 기르는 중차대한 사명이 주어진 직업이다. 그런데 어찌 자기 연수를 게을리 할 수 있겠는가? 사명감이 없는 교사의 어린이 사랑은 거짓일 수밖에 없다. 사랑한다면 혼신의 힘을 다해야 통한다.
적당히 얼렁뚱땅 안일한 직업의식으로 살아가니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를 잃어버린 것이 아닐까? 고달파도 연수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날로 증가하는 지식의 폭발시대, 교사가 깨우치지 못하면 학생도 깨우치지 못한다. 교사가 아는 것만큼 학생들도 알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훌륭한 스승은 말이 아니라 실천이다. 실천은 바로 사랑이다. 입으로만 지식을 전수하는 교사는 약장수와 똑같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삭막한 시대, 교권이 무너지는 시대 그래도 마지막 보루는 교사이다.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이 삶의 목적인가? 관리자가 되는 순간 우리나라 교육체제는 행정가로 전락하는 구조이다. 스승이 아니라 공무원이다. 공무원의 심부름꾼이 좋은가? 어린이와 함께 사랑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는 스승의 길이 좋은가? 한번쯤 심사 숙고해볼 문제다. 인생은 한번 밖에 꽃 피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관식 시인]
노산문학상 수상
백교문학상 대상 수상
김우종문학상 수상
황조근정 훈장
김관식 kks419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