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군은 향토전시관 소장‘하동 정씨 고문서(河東鄭氏 古文書)’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예고(4.8.~5.7)를 거쳐 7월 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11호로 지정된다고 밝혔다.
하동정씨 고문서는 18점으로 재산을 분배한 문서인 분재기, 왕에게 올린 상서(조선시대 민원서), 교지, 호구 자료(개인의 호적등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문서는 옥천지역에 대대로 거주하는 하동정씨 문중에서 내려온 고문서로, 2021년 옥천군에서 실시한 옥천 향토전시관 소장유물 목록화 사업에 따라 2,472점의 유물을 확인하고 그 중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지정 신청 결과이다.
하동정씨 고문서 중 분재기에는 조선 전기에 보편적으로 시행된 균등 상속이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는 점과 노비와 전답 등 세부적인 분급 사실을 통해 옥천 지역 사회․경제적인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조선시대 중기 옥천지역의 의병활동과 사회질서의 재편과정에서 향전(鄕戰)의 중심에 있는 유력 성씨중 하나인 하동 정씨 고문서(왕에게 올린 상서, 호구자료)를 통해 당시 옥천(충북)지역의 사회변화상과 지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한편, 옥천에 대대로 거주하는 하동 정씨는 정소(鄭韶)가 흡곡현령을 지낸 후 부인 옥천전씨의 고향으로 낙향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정유건(鄭惟謇)이 다시 옥천전씨 전팽령(全彭齡, 1480~1560)의 딸과 결혼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의 유력 성씨로 자리 잡았다.
분재기의 주인공은 정유건의 손자 정홍량(鄭弘量)의 부인 한 씨로, 남편 사후 자녀 3남 5녀와 첩 소생 윤백에게 재산을 분급하는 문서이다.
강종문 문화재팀장은 “지난 3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정립 문적’과 함께 ‘하동 정씨 고문서’ 등 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역사업 등을 실시하고, 향후 건립 예정인 옥천박물관에서 주요 전시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하동정씨 고문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된다
옥천 지역 사회․경제적인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
등록기자: 정명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2.07.04 10:46
수정
2022.07.04 10:4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환상과 환멸 사이 늦었지, 사...
이 작품은 박완서 작가의 남편이 사기 사건으로 구속되자 옥바라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2일 ○○중...
Ⅰ. 들어가기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디카시는 사진과 시가 결합한 독창적...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