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한 멸종위기종 여우, 소백산에서 부산까지 이동

소백산 수컷 여우(SKM-2121), 200km 떨어진 부산에 서식


지난 겨울 소백산에 방사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여우(SKM-2121) 수컷 1마리가 부산으로 이동하여 활동 중이라고 국립공원공단이 밝혔다이 여우는 지난해 315일 국립공원연구원 중부보전센터(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재) 내에서 태어난 개체로 자연적응 훈련을 거친 작년 123일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일원에 방사됐다.

 

이 여우는 최초 방사지인 소백산 일원에서 80간 머물다가 올해 214일부터 기존 활동 지역을 벗어나 강원도 동해시로 이동했고, 여기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약 3개월이 지난 올해 520 부산의 한 야산에 도착하여 한 달 넘게 서식 중이다.


 

개체번호

성별

출생년도

방사일(방사장소)

비고

SKM-2121

수컷

‘21(2년생)

‘21.12.03.(소백산국립공원)

자체 증식 개체

 

국립공원공단은 여우의 목에 부착된 위치추적 장치로 이동 로를 24시간 파악하고 있으며, 부산지역 서식지 인근의 지역주민을 상으로 여우 목격 시 주의사항과 안전사고 예방 수칙을 전파하고 있다. 또한, 현재 건강상태 확인을 위해 이곳의 활동 지역 내에 무인감지카메라(10)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관찰 중이다.

 

국립공원공단 송형근 이사장은 여우는 식육목 동물 중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산지, 도심, 농촌, 초원, 사막, 툰드라 등 매우 다양한 곳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거리 이동 습성은 여우가 가진 일반적인 생태적 특징이라며, 새끼가 없는 수컷은 주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만큼 이번에 부산으로 이동한 개체(SKM-2121)장거리 이동 사유가 생태적 특성과 먹이 , 호기심 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육안상 개체는 건강한 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해당개체의 서식 상황을 관찰(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경우 포획, 이주방사 등 개체 관리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박소영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사람이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치에 개체가 서식 중에 있어 개체의 이동과 서식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면서  지역주민 안전사고 및 여우 피해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면서, 여우가 사람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동물은 아니므로 마주쳤을때 소리를 지르거나, 먹이공급 등 지나치게 관심을 갖는 행동을 지양하고, 자극을 줄 수 있는 반려동물 동행 자제, 자동차 서행 요령을 따라야 하며, 여우를 목격할 경우 국립공원연구원 중부보전센터(054-637-9120)에 즉시 신고해 달라라고 말했다.


작성 2022.07.06 09:26 수정 2022.07.06 09:3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