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10만 인재 양성 방안

최정예 사이버인력 양성으로 안전한 디지털 강국 구현


사이버위협은 중소기업, 융합산업 등 보안이 취약한 분야를 시작으로 디지털 혁신가속화에 따라 사회 전 영역으로 확대한다. 주요 기업의 해킹,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버전 확대 등 사이버 위협국민 일상, 기업 경제활동, 국가안보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이버 역량은 사이버보안 제품·서비스신속하게 개발하고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보안인력역량좌우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이버위협 등으로 사이버 전문인력중요성 미래에도 지속전망이며, () 주요국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산업계 사이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감소(’1969‘2053) 등으로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보안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체계지역인력 공급방안을 요청했다.

 

스마트공장(IT+OT), 자율주행차(IT+자동차) 정보기술(IT)과 분야별 산업함께 이해하는 융합보안인력에 대한 수요증가하고 있다. 사이버전 확산, 사이버범죄 증가 등에 대응하여 ···원 협업 통한 국방·치안·공공 분야 사이버 인력양성 강화 필요가 있다.

 

미래인재 양성은 클라우드, 가상융합경제 등 사이버 환경변화대응하여 융합보안대학원정보보호특성화대학확대·개편하고 인력양성질 제고를 위해 대학원 지원대상(석사·박사)확대(‘23~)하고, 대학주도하고 기업·연구소 참여하는 연구개발 추진한다.

 

(현장 연계 강화) 기업이 인재선발실무교육취업 전과정주도하고, 정부는 사업을 지원하는 시큐리티 아카데미(‘23~, 200) 도입하고 기업 내 사이버보안 의사결정자(CEO, CISO )의 사이버보안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중소기업 보안인력 대상 보안 교육지원 강화한다. 기업우수 전문가강사활용하기 위해 인센티브(대체 인건비 )지원하여 교육산업 현장 간의 연계 강화한다.

 

최정예 육성 체계를 위해 최고급 개발인력 육성을 위해 정보기술(IT)개발 인력을 선발하여 보안교육·창업지원하는 ’S-개발자과정 신설(’23~, 50)하고 화이트해커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잠재력 있는 보안 인재재능 사다리 제공을 위해 화이트햇 스쿨과정(’23~, 300) 신설한다.

  

교육 대상

:

중급 과정

고급 과정

개발자 (제품 개발자)

(SW IT개발 인력 선발)

‘S-개발자’ (신설)

화이트 해커 (사고대응)

화이트햇 스쿨’ (신설)

차세대 보안리더(BoB)’ (기존)

 


훈련장 확대·고도화를 위해 누구나 쉽게 보안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실전형 사이버훈련장(Security-Gym)확대(기존 1(판교) 지역 기반 확대)하고, 실제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 기반훈련 시나리오개발하고, 팀 단위 훈련이 가능한 멀티훈련 플랫폼 개발한다.

 

지역의 보안인재 육성을 위해 지역교육센터중심으로 거점대학(특성화대학, 융합보안대학원 등)과 함께 교육지원하고 지자체, ·학 중심의 지역 정보보호 협의회구성하여 지역 인재 양성지역 사이버산업 육성선순환 구조 마련한다. 청소년 보안캠프, 대학 동아리 등을 통해 인식제고기초역량 강화할 것이다.


작성 2022.07.14 08:52 수정 2022.07.14 08:5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