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냉방기기 화재 집중 발생에 따른‘주의’

‘전기적 요인’이 77%(285건), 에어컨 실외기 등 전선접촉 불량이 가장 많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최근 5년간 냉방기기 화재 통계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에어컨 실외기의 전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발생한 냉방기기 화재 건수는 총 368건으로 24(사망 3, 부상자 21)의 인명피해 및 약 13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연도별 발생건수는 2017년에 96건으로 가장 많았고 2019년과 2020년에 54건으로 감소하였으나 지난해 74건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월별 현황은 7월에서 8월 사이에 197(53.5%)이 발생하여 총 화재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화재 원인은 전기적 요인이 285(77.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기계적 요인 35(9.5%), 부주의 19(5.2%) 순이었다전기적 요인에 따른 화재 285건 중 접촉불량(전선간 이음매 불량 등)에 의한 단락이 9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전선 피복 손상에 의한 단락 82, 과열 및 과부하 16건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지난달 27일 동작구 흑석동의 한 아파트 세대 내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추정되는 불이 나 주민 49명이 대피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에어컨 화재의 경우 주로 실외기 결선 부위 접촉 불량에 의한 전기적 저항 증가로 화재가 많이 발생한다라며 화재예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안전관리를 당부하였다.

실외기의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전용 고용량의 단독 콘센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금지 및 외출 시 반드시 전원 플러그를 뽑아야 합니다.

실ㆍ내외기 연결부위 점검을 통해 전선이 낡거나 벗겨진 경우는 전문가를 통해 전선을 교체하고, 실외기 소음과 진동이 평소보다 크다면 즉시 제조업체의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실외기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 벽과 10cm 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하며, 실외기에 쌓인 먼지를 닦고 주변에 낙엽과 같은 탈 수 있는 물질들은 치워야 합니다. 특히 실외기실이 별도로 설치된 경우는 동작시 환풍구(루버창 등)를 반드시 개방해야 화재를 예방하고 전기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최태영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본격적인 무더위로 냉방기기 사용 시 화재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서울소방도 여름철 시민 안전을 위해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안전정보를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작성 2022.07.14 11:00 수정 2022.07.14 11:0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현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