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문화비축기지에서는 전시, 공연, 융복합․실험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오는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선보이는 <문화비축기지 아트랩-Art Lab>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문화비축기지 아트랩-Art Lab>은 ‘전시’와 ‘공연’, ‘융복합․실험예술’의 3가지 분야로, 창작자들에게 문화비축기지 공간과 보유 장비를 제공하여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아트랩-Art Lab’은 문화비축기지 공간 활성화를 위해 2021년 처음 시작한 프로젝트로 전시, 공연, 융복합 분야의 총 22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약 3,300여명의 시민들이 관람하였다.
2022년 <문화비축기지 아트랩-Art Lab>은 전시 5개, 공연 6개, 융복합·실험예술 5개 등 총 16개의 프로그램이 T1~T6까지의 독특한 탱크 공간에서 다채롭게 펼쳐진다. 융복합 예술, 미디어 전시, 무용공연 및 서커스 등 장르별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① <아트랩-Art Lab : 전시>
전시 프로젝트는 12월까지 총 5개의 전시를 진행한다. 생태, 인간과 비인간, 젠더, 기후변화 및 팬데믹 이후 회복의 가치 등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접할 수 있다.
○ <밤의 찬가>, 더 그레잇 커미션, 7.15(금)~8.14(일)
○ <All-Over Mobility>, 전혜주, 10월
○ <세대 간 기후 범죄 서울재판소(CICC)>, 드리프팅 커리큘럼 11월
○ <헤르마프로디토스 돌기신화 드리밍클럽> 다발킴, 11월
○ <원형적 사유 : 샤먼, 생태, 여성> 안보미, 12월
② <아트랩-Art Lab : 공연>
공연 프로젝트는 7월부터 11월까지 총 6개 작품이 진행되며 기후변화, 산불 등의 주제와 장단 놀이 등으로 서커스, 비보이 공연, 연극, 인형극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 <도시조류도감> 컨컨, 7.16(토)~7.17(일)
○ <장단꾸러기> 락앤롤크루, 10.8(토)
○ <Surface> 수잔, 10.15(토)
○ <술사> Force, 10.29(토)~10.30(일)
○ <패크랫> 옐로밤, 11.5(토)~11.6(일)
○ <우리의 몸, 나의 중력> A.3355, 11.12(토)~11.13(일)
③ <아트랩-Art Lab : 융복합․실험예술>
융복합․실험예술 프로젝트는 실험형 퍼포먼스와 사운드 퍼포먼스, 가야금과 전자음악을 병행하는 융복합 프로젝트 등 총 5개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옐로우 트레이스(Yellow Trace), JabaNero, 8.3(수)~8.4(목)
○ <서발턴(Subaltern)> 빈스토컴퍼니, 8.10(수)
○ <오래된 노래:ALTES LIED> 이선민, 10.5(목)~10.9(일)
○ <포스트 음악극 ‘몸’ - Our Body> 조은희, 9.1(목)~9.4(일)
○ <2022 ATM Festival> 아트 인큐베이터, 10.20(목)~10.23(일)
또한, 문화비축기지는 <문화비축기지 아트랩-Art Lab> 활성화와 프로젝트 참여팀들을 지원하기 위해 ‘아트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배포한다. 아트랩 로고 및 디자인 요소, 홍보 방법 등을 통일하고 개별 프로젝트 팀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배포하여 아트랩과 개별 프로젝트가 효과적으로 홍보될 수 있도록 한다.
<문화비축기지 아트랩-Art Lab>은 개별 프로그램에 따라 운영 기간, 장소 및 관람료가 상이하니 자세한 사항은 문화비축기지 홈페이지나 블로그(https://blog.naver.com/culturetank)에서 확인하면 된다.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SNS를 통해 사전 예약이 필요하거나 유료관람으로 진행한다. 기타 문의사항은 문화기획팀 담당자에게(02-376-8739) 문의하면 된다.
이용남 서부공원녹지사업소장은 “문화비축기지 아트랩-Art Lab을 통해 문화예술 콘텐츠 창작자들은 독특한 탱크 공간을 활용한 예술작품을 시연해 볼 수 있으며, 시민들은 다채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들을 향유 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문화비축기지를 방문하는 시민들이 다양한 문화와 휴식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