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습지 2,704곳의 최신 생태공간정보를 공개

국립생태원 에코뱅크에서 습지의 위치, 생물종 열람 가능



우리나라의 내륙습지 2,704곳의 위치, 면적, 생물상 현황 등의 상세정보를 담은 내륙습지 목록82일부터 공개한다. ‘내륙습지 목록정보는 국립생태원에서 운영하는 생태정보 종합시스템인 에코뱅크(nie-ecobank.kr)’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과 내려받기를 할 수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도 내륙습지의 공간 정보를 게재하여 사용자가 습지의 위치 및 면적 등의 기초자료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는 습지보전법에 따라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내륙습지 2,704*현황을 조사했으며, 조사 결과를 습지보호지역 지정 등 습지 보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하는 내륙습지 목록에는 그간 기초조사로 발굴한 습지의 좌표 및 주소, 유형 등의 현황정보가 담겨 있으며, 그중 1,216곳은 5,677종의 생물종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내륙습지 2,704곳의 총 면적은 1,153.4로 우리나라 국토 면적의 약 1%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 습지에는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67종의 약 40%107종이 사는 것으로 나타나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습지의 보전이 매우 중요하다.

 

내륙습지의 분포 현황을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면적 기준으로 전라남도 228.3, 충청남도 198.3순으로 나타났다. 개수 기준으로 보면 전라남도 476, 경상북도 373곳 순으로 가장 많은 습지를 보유하고 있다.

 

습지 유형별 면적 순으로 보면 하천습지가 990.7(1,326)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했으며, 호수습지 99.0(635), 인공습지 49.9(277), 산지습지 13.8(466) 순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이번 내륙습지 목록정보가 습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연구뿐만 아니라 개발사업 추진 시 환경영향평가 등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습지훼손을 사전에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강성구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이번 내륙습지 생태공간정보 공개를 통해 국민들이 습지를 친숙하게 알고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면서, 내륙습지 정보의 정책활용도를 높여 과학적인 분석과 객관적 사실에 기반한 환경정책을 펼치겠다라고 말했다.

 

작성 2022.08.02 10:47 수정 2022.08.02 10:5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현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자유발언] 국악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