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황근, 성공적 복원

황근 자생지 및 복원지 유전자 다양성 양호 확인

황근 자생지 전경


국립생물자원관은 가톨릭대학교 김상태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식물 종인 황근자생지와 복원지 개체군의 유전자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자생지와 복원지 모두 유전자 다양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황근은 무궁화속 자생식물종으로 제주도와 일부 남해안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해안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자생지가 파괴되어 개체수가 줄어듦에 따라 1998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법정보호종으로 관리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2013년 제주 서귀포시 표선리에 위치한 자생지에서 종자를 채집해 증식한 4,200본의 묘목을 서귀포시에 기증한 것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송악산(제주 소재)과 한림읍 올레길 등지에 4,000본을 복원하는 등 황근 복원을 위해 노력해 왔다.

 

국립생물자원관과 가톨릭대 연구진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성과 평가를 위해 지난해 6부터 제주도와 남해안 등에 위치한 13개 서식 집단의 유전자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 서식집단지 - 전남 소안도·소사랑도,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김녕리·평대리·세화리, 조천읍, 법환동, 성산읍 오조리·온평리, 표선면, 중문동, 비양도


분석 결과, 황근 자생집단과 복원집단에서 모두 유전자 다양성 지수는 비슷한 값으로 측정되었으며, 개체군 간 유전적 건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복원된 것으로 평가되었다또한, 인공적 복원집단에서도 종자 결실률이 자연 개체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등 성공적인 증식이 확인되어 멸종위기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 결과는 올해 환경부가 추진 중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개정을 위한 검토자료로 제시되었으며, 환경부는 이를 바탕으로 황근을 멸종위기 야생생물에서 해제하는 안을 마련하여 지난 75일 공청회를 진행하였다.


강재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장은 황근 복원은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종을 민관이 협업하여 성공적으로 복원한 매우 모범적인 사례다라며, “앞으로도 멸종위기에 처한 다양한 야생생물들을 보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작성 2022.08.04 11:16 수정 2022.08.04 11:1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현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자유발언] 국악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