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은 탄소중립을 위해 ‘포플러 생육 증진을 위한 기능성 미생물 발굴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의 원인이 되는 탄소의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아지게 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며, 나무는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주요 탄소흡수원으로 알려져 있다.
포플러는 사시나무속(Populus)에 속하는 모든 수종을 통칭하며, 다른 수종에 비해 생장이 빨라 탄소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단기간에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는 수종이다.
연구는 식물체 내에 존재하는 식물 내생 미생물 및 식물이 생육하는 토양에 존재하는 토양미생물이 식물의 생장 및 발달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포플러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 미생물을 발굴하여 포플러에 처리함으로써 포플러의 생육을 증진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최근 기능성 미생물을 활용한 식물의 병해충, 건조 등의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생장 촉진 등에 관한 연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기능성 미생물 연구는 작물 중심의 농업 분야에서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나 산림 분야에서는 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포플러 생육 증진 기능성 미생물 발굴 및 활용을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경북대학교(강준원 교수 연구팀), (사)한국포플러·속성수연구회와 연구협의회를 구성하여, 8월 16일(화) 경기도 용인에서‘포플러 생육 증진 기능성 미생물 발굴 현장토론회’를 개최하였다.
토론회에서는 ▲미생물을 활용한 수목 생육 증진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포플러 생육 증진 기능성 미생물 발굴 및 활용 전략 등에 대한 참석자들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자원연구과 김인식 과장은“포플러는 대표적인 속성수로 바이오매스 생산이 매우 우수하여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수종이다”라며“미생물을 활용하여 포플러의 생육이 더욱 증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을 확대·보급하여 탄소중립에 기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육 증진 포플러로 탄소중립 실현
국립산림과학원, 포플러 생육 증진을 위한 기능성 미생물 발굴 착수
등록기자: 최우주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2.08.25 09:16
수정
2022.08.25 09:2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환상과 환멸 사이 늦었지, 사...
이 작품은 박완서 작가의 남편이 사기 사건으로 구속되자 옥바라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2일 ○○중...
Ⅰ. 들어가기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디카시는 사진과 시가 결합한 독창적...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