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칼(Lake Baikal)에서
사랑의 생채기가 있는
파란 눈의 여인이
고혹적인 눈을 살짝 감았다가 뜨는 순간
동토의 허허벌판에 새겨진
시베리아의 푸른 눈동자
바이칼
바이칼 앞에는
‘가장’이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다
가장 깊고
가장 푸르고
가장 차갑고
가장 오래되고
가장 담수량이 많은 호수
울란우데에서 이르쿠츠크 가는 시베리아횡단열차 차창 너머로
바이칼호수가
풍경으로 노래한다
짙은 타이가(taiga) 숲
소 떼가 노니는 끝없는 초지
투명한 물살 일렁이는 호숫가는
야생화 이반차이의 분홍빛으로 물든다
자작나무숲 아래에서
길가의 들꽃들은 나지막이
‘본향(本鄕)을 찾아 잘 왔노라’
속삭여주어
길은 외롭지 않다
바지선을 타고
호수를 가로질러
알혼섬으로 건너간다
후지르 마을을 향해
먼지를 일으키며
구릉길을 달리는 푸르공은
놀이공원의 청룡열차
고운 님 만나려면
힘들고 더디게 찾아가야
그리움이 깊어지는 법
지구상에서
영기(靈氣)가 가장 센
부르한 바위는
샤먼의 성지
브라트족 성소
징기스칸이 묻힌 곳
몽골, 티벳, 탕구트족 발원지
최남선 선생이 우리 민족의 시원(始元)이라 했던 곳
이곳에서
백석은
북방민족의 향수를 그리워하고
춘원은
달빛 실은 바이칼의 파도를 노래했었지
장엄한 해가
바이칼의 수평선을 물들이는 시간
출렁이는 바이칼 물결도 잠잠해지니
억겁의 시간이 멈춘 듯 천지가 고요하다
수십년 동안
내 영혼의 피정지에 침잠했던
바이칼을 향한 동경과 향수는
지는 해와 함께
호수의 심연 속으로 빠져들어 간다.
*바이칼호수: 2,500만 년 나이를 먹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남한의 1/3 크기다. 남북 636km, 둘레 2,200km, 최고수심 1,742m, 지구 담수의 20%를 지니고 있다. 호수 안에 있는 알혼섬은 제주도 절반 크기로, 섬 안에 세계 샤먼의 성지 부르한 바위가 있다.
[여계봉 선임기자]
yeogb@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