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무형유산원은 장애인을 위한 무형유산 체험프로그램 「오감으로 느끼다」을 9월 2일(금) 전주 은화학교(승전무)와 9월 22일(목) 전북 맹아학교(강강술래, 이리농악)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국립무형유산원의 「오감으로 느끼다」는 올해 새롭게 운영하는 체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국가무형문화재를 장애 학교와 단체의 특성과 환경에 맞춰 운영하는 사업이다.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문화 취약 계층에게 맞춤형 무형유산 교육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지난 7월 1일(금) 첫 번째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조합 섬진강 등의 중장년 장애인 41명이 국립무형유산원을 방문해 ‘사기장‧염색장‧장도장‧단청장’ 국가무형문화재 4개 종목을 경험한 바 있다. 참여자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흙 내음과 색의 아름다움 그리고 손끝의 감각으로 완성된 작품의 멋을 한껏 만끽하였다.
9월에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먼저 ▲9월 2일(금) 은화학교 체육관에서는 북을 울리며 동서남북으로 춤사위를 맞추어 가는 ‘승전무’ 북춤 체험이 진행된다. ‘승전무’는 경남 통영에서 임진왜란 때, 충무공의 승전을 기원하고 축하하는 춤으로, 동작이 단순하면서도 힘차, 따라 하기 쉽고 청각으로 느끼는 북소리와 시각으로 인지하는 춤사위 그리고 손끝의 북채에서 느끼는 촉각을 최대화해 오감을 만족시키는 종목이다.
두 번째로 ▲9월 22일(목)은 전북 맹아학교 학생 40명이 국립무형유산원에서 ‘강강술래’와 ‘이리농악’을 체험한다. ‘강강술래’는 노래를 부르며 앞뒤 사람이 손을 잡고 원형으로 돌거나 진을 펼치며 추는 춤으로 청각과 촉각을 통해 공동체성을 경험할 수 있다. ‘이리농악’은 느림에서 빠른 장구 연주로 속도를 변주하는데, 소리가 주는 힘과 어울림을 느낄 수 있는 종목이다.
향후 「오감으로 느끼다」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장애 학교 및 단체는 전화(☎063-280-1527)로 연락하면 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와 협의가 가능하다. 앞으로도 국립무형유산원은 문화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도 쉽게 우리 무형유산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무형유산 「오감(五感)으로 느끼다」
문화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도 쉽게 우리 무형유산을 즐길 수 있어야
등록기자: 최우주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2.09.03 09:53
수정
2022.09.03 09:5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환상과 환멸 사이 늦었지, 사...
이 작품은 박완서 작가의 남편이 사기 사건으로 구속되자 옥바라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이하 ‘인권위’)는 2025년 7월 22일 ○○중...
Ⅰ. 들어가기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디카시는 사진과 시가 결합한 독창적...
안녕하세요. 나영주입니다. 사랑하는데 이유를 달지 않듯이 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