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영 칼럼] 할 수 있는 동안 장미 봉오리를 모아라

김은영

 

아침 공기가 서늘하다. 갑자기 섬뜩하다. 뜰을 보니 지친 녹색이 가을을 품고 있다. 저 시퍼런 잎사귀들 속에 숨어있는 노란색, 빨간색들에 대한 상상이 유쾌하지 않다. 열매들이 익으려면 아직 햇빛이 더 오래 비추어 주어야 하고 막 피기 시작한 꽃들과 무성한 나무 잎새로 스며드는 서늘한 바람. 꿈을 접으라고 하는 것 같아 우울하다.

 

이른 봄부터 매일 아침 해만 뜨면 나와서 씨 뿌리고, 모종을 심고, 옮겨 심을 자리를 잡아주고, 잎을 잘라주고, 나뭇가지를 쳐 주고, 사슴이 먹지 못하게 망을 쳐주고, 벌레 먹는 잎을 떼어주었다. 이 아이들 모두가 잘 자라고 꽃피워서 이루어질 아름다운 정원을 꿈꾸면서.

 

이제 시작했는데. 아직 토마토도 더 익어야 하고 고추가 사슴이 잘라 먹는 바람에 이제 막 열리기 시작했는데. 계절은 나보다 먼저 달려간다. 언제나 그랬다, 나의 시간은 느리고 자연의 시간은 내 삶을 휘어잡고 언제나 앞서 갔다.

 

이번에도 들이닥치는 시간의 압박 앞에 나는 오늘 아침 우울하다. 머리속에 눈이 벌써 온 것 같다. 하얗다. 얼른 메멘토 모리(Memento Mori)가 떠오르지만 곧 지워버렸다. 대신 카르페 디엠(Carpe Diem)을 불러왔다. 그래도 실망감이 가시지 않는다. 계절은 꿈을 접으라고 말한다. 그럼 내년을 기대할 수 있을까? 내 정원의 많은 생명들은 내년이라는 단어가 없다. 일년초들과 잡초들, 곤충들에게도 내달이라는 단어도 없고 내일이라는 단어가 없는 녀석들도 많다. 나에게도 내년이라는 단어가 보장되어 있지는 않다.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의 라틴어 메멘토 모리는 로마의 개선장군들이 시가지로 들어오는 화려한 마차 안 구석에 꾸부려서 험상궂게 생긴 노예에게서 듣는 말이다. 이것은 당시의 관례로 전쟁이라는 살상의 현장에서의 죽음과 자신의 죽음을 상기하라는 말이라고 한다.

 

메멘토 모리를 일생동안 생각하며 산 사람을 나는 알고 있다. 죤 쉘비 스퐁 성공회 사제이다. 그는 과정신학자(Process theologian)로 많은 책을 내면서 책 서문에 여러 번 이번이 마지막 책이 될 것이라는 말을 반복했었다. 그 이유는 그가 진정으로 그것을 믿었기 때문이다. 8살 때 아버님이 돌아가셨다.

 

장례식에 모인 친척들 가운데 삼촌 한 분이 스퐁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오래 살지 못해. 너도 준비해야 할 거야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 말은 그를 서둘러 누구보다도 먼저 학교와 일과 연구와 책 쓰는 것을 하게 했다고 한다. 죽음이 언제나 눈앞에 있음을 의식하면서 살았다고 한다. 그런데 그는 지난 202190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카르페 디엠(Carpe diem)은 호라티우스(Horatius)의 시 송가 (Ode)에서 유래되었다. 영어 번역은 ‘Seize the day 현재를 움켜잡아라이다. 송가에서 지금 우리가 말하는 동안에도, 인생의 시간은 우릴 시기하며 흐른다네/ 지금을 잡게 (carpe diem), 미래에 대한 믿음은 최소한으로 해두고”.

 

카르페 디엠이라는 말은 교육 현장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도 나온다. 미 명문 웰튼 고등학교에 새로 부임한 키팅 영어선생님(로빈 윌리엄스 역)이 공부로 찌든 학생들에게 로버트 해리의 시 소녀들에게의 충고를 읽어주면서 강조하는 말이다.

 

너희들이 할 수 있는 동안/ 장미 봉오리를 모아라/ 늙은 시간은 끊임없이 날아가며/오늘 미소 짓는 바로 이 꽃도/ 내일이면 죽으리라.”

 

얼마 전 한국 방송을 보다가 가수 이연자 씨의 히트곡 중에 아모르 파티라는 것이 있어서 좀 의아했다. 그것은 니체가 위버멘쉬 이론을 펼치면서 강조한 라틴어 어귀이다. ’네 운명을 사랑하라는 뜻의 아모르 파티 (amor fati)는 실존철학자 니체의 영원회귀설과 연계한 그의 철학이다.

 

니체는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그의 중심 사상인 위버멘쉬 (극복자)는 자신을 경멸하고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통치하는 숨은 통치자이며 현자인 자아를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한다. 그는 당시 기독교의 선과 악, 천국과 지옥, 등의 이중성과 흑백논리를 신은 죽었다는 선언으로 비판한다.

 

몸과 마음은 하나이니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과 몸을 긍정하면서 참다운 자아를 찾아가는 길이 위번멘쉬가 되는 길이라고 한다. 그 궁극적 목표 어린아이 처럼 모든 것을 기뻐하고 호기심을 가지고 생을 즐길 수 있는 상태라고 한다. 그는 나는 춤추는 신만 믿는다라고도 했다.

 

그렇게 열심히, 해만 뜨면 뜰에 나가, 심고 가꾸며 아름다운 나의 정원의 모습을 꿈꾸어 왔다. 땅속의 돌을 파고 나르고 나무를 치고 자르며 뜨거운 햇빛 아래 흐르는 땀이 입속으로 스며들어 그 짠맛을 느끼면서도 그것을 이루려 노력했는데 이젠 접으라고 한다. 쓸쓸하다.

 

이 뻗치는 생명들의 성장이 멈출 것이다. 시간이 내게 줄 것은 시들고 누렇게 되고 떨어져 죽음을 맞을 준비밖에 다른 것이 없다. 죽음에 대한 생각은 유쾌하지 않다. 내가 알고 있는 ’, 실존하는 ’, 몸과 마음을 가지고 생각하고 계획하고 꿈꾸며 오감을 가지고 느끼며 행복해 하고 슬퍼하는 가 해체되는 것을 말한다. 죽음과 함께 오는 감정은, 상실, 이별, 잊혀짐, 억울함 등으로 내 마음의 깊은 곳에서 어두움의 악마처럼 검은 연기로 솟아오른다.

 

그러나 어두움에 빛을 대조하면 빛이 아름답듯이 죽음의 생각에 삶을 대조하면 삶은 휘황찬란한 축제이다. 웰튼 아카데미에서 키팅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말 내일을 믿지 말라. 오늘을 알차게 보내라 (carpe diem,카르페 디엠)’는 말이 빛으로 내 마음에 들어온다.

 

오늘을 빛나는 생명으로 만들려면 니체의 조언을 들어야 할 것 같다. ‘아모르 파티. 나의 태생과 나의 살아온 여정과 나의 이 장소와 시점 속의 모든 것, 가족과 이웃과 세상을 감사하고 사랑해야 한다. 지금껏 한없이 뻗치던 꿈을 접어야 하는 이 허전함과 쓸쓸함도? 쓸쓸함을 느낄 수 있는 생명임을 깊이 감사하면서 이 씁쓸한 쓸쓸함마저도.



[김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졸업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석사

오크라호마주립대학 박사과정

시납스인터내셔날 CEO

미국환경청 국가환경정책/기술 자문위원

Email: kimeuny2011@gmail.com

작성 2022.09.13 11:38 수정 2022.09.13 11:4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