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옥동(玉洞)마을과 문항(文巷)마을 이야기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말과 글로 세상을 이롭게 하는 방향

옥동마을

 

남해 옥동마을은 마을의 생긴 모양이 구슬을 담아 놓은 함옥(含玉)처럼 생겼다 하여 옥동이라고 했다. 문항마을은 그 마을을 지나면 선비들의 글 읽는 소리가 낭낭하게 들린다고 하여 문항이라고 했다고 전해진다.

 

옥동마을은 마을의 생긴 모양이 구슬을 담아 놓은 그릇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진 것처럼 구슬 같은 인재들이 많은데 오늘은 전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유삼남이라는 분 이야기를 하고 싶다. 

 

충무공 이순신의 순국지인 이순신순국공원 내 이락사 사당으로 올라가는 길에 충무공 순국 400주기를 기념하기 위해서 큰 비를 세웠는데 그 비에 새겨진 글은 유삼남 해군참모총장의 친필 글씨다. 

 

전방급 신물언아사(戰方急 愼勿言我死), 충무공 이순신이 “전쟁이 한창 급하니 내 죽음을 말하지 말라”고 마지막 하신 말씀을 한자로 새겨 놓은 비다. 이락사 사당을 해설 할 때는 꼭 언급을 한다.

 

전 해군참모총장 유삼남은 남해 옥동마을 출신이다. 충무공 이순신의 유해가 잠시 안치되었다가 떠난 남해충렬사 아래에는 거북선이 전시되어 있었다. 그 거북선은 1980년 해군사관학교에서 교육용으로 사용했던 것이다. 제작 후 20년이 지나 교육용으로 생명이 다했을 때 다시 건조하면서 거북선이 남해 노량으로 오게 되었는데 그 역시 유삼남 전 해군참모총장 시절이다. 

 

거북선을 남해로 가져오는 데 일조하여 이락사나, 충렬사를 해설할 때 유삼남 님의 치적을 자랑한다. 구슬을 담는 그릇처럼 생긴 마을에서 이런 인물이 성장했으니 마을 이름과 일어난 일이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문항마을

 

내가 설천에 살던 때 옥동마을에 있는 초등학교 동창생 엄마들이 참 고맙게 해주었기에 좋은 이미지로 각인된 곳이 옥동마을이다. 그리고 문항은 이름처럼 선비들이 있어 그런지 박사가 20명 가까이 배출된 마을이고 특히 시(詩)를 좋아하는 내게는 참 인상 깊은 마을이다.

 

윤동주 시인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세 부를 손으로 직접 써 스승에게 한 권, 정병욱이란 후배에게 한 권, 나머지 한 권은 자신이 일본 유학 길에 가져갔는데 그 혼란스런 시절 두 권의 시집은 사라지고 정병욱이란 후배에게 준 한 권이 남아 지금 이 시대 사람들에게 울림을 주는 시로 살아남게 되는데 그 정병욱의 집안이 남해 문항마을 사람들이다.

 

일제 강점기 교육을 위해 정병욱의 아버지가 하동으로 이사를 하고 또 나중에는 광양으로 이사를 하면서 지금은 광양 사람으로 되어 있지만 처음은 남해 문항 사람이었다.

 

그리고 남해 3·1운동 발상지가 남해 문항이다. 만세를 부르는 소리가 울려 퍼졌던 문항마을을 상상해 보면 글 읽는 소리가 낭낭하게 들려서 문항이라고 했던 마을 유래와 딱 맞아떨어진다. 

 

윤동주의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란 제목의 시집이 이 문항마을 사람으로 인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는 것도 예사롭게 볼일은 아닌 듯하다. 정병욱은 일제 강점기 때 선배가 준 시집을 학도병으로 끌려가면서 어머니에게 부탁했다. 

 

어머니는 아들의 부탁으로 시집을 비단에 싸 마루를 뜯어내고 그 밑에 숨겨 보관하여 살려낸 것이다. 옥동이나 문항이나 그 일어난 일들이 마을 이름과 같이한다. 그래서 우리는 글과 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옥같은 인물이 많이 나고, 선비의 글 읽는 소리가 낭랑하게 들리는 마을이 남해에 있다.

 

 

 

 

[서재심] 

시인

남해군문화관광해설사

코스미안뉴스 객원기자

서재심 alsgml-2@hanmail.net

 

작성 2022.09.24 12:37 수정 2022.09.24 12:5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재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