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식 칼럼] 양귀자 작가의 단편 '원미동 시인'이 우리에게 묻는 질문, 어떻게 살 것인가

민병식

이 작품은 1986년 ‘한국문학’ 6월호에 발표된 양귀자(1955~ ) 작가의 단편소설로 연작소설집 ‘원미동 사람들의 4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작중 화자는 7살이다. ‘나’에게는 27살 먹은 친구가 둘 있는데 그중 하나는 형제슈퍼 주인인 김반장과 시인으로 불리는 ‘몽달’이다. 김 반장은 동네 반장에다가 이웃과도 잘 지내는 사람이고 '나'의 셋째 언니인 선옥 언니를 좋아하지만 언니는 서울에 있는 이모 양품점에서 일을 한다. 

 

몽달 씨는 대학교를 잘리고 시를 적은 쪽지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외우고 다니는 좀 모자라 보이는 특이한 사람이다. 김 반장은 몽달 씨를 시인인 척 추켜세우며 이것저것 일만 시켜 먹는다.

 

어느 날 부모님의 싸움이 저녁까지 이어지자 이를 피하기 위해 형제 슈퍼 앞에 있는 비치 파라솔에 앉아 졸고 있었다. 갑자기 골목이 시끄러워지면서 한 사람이 슈퍼 안으로 도망하고 험악한 두 사람이 그 뒤를 쫓고 있다. 자세히 보니 도망가는 사람은 몽달 씨였고 그 험악한 사람들에게 맞고 있었다. 

 

주위에 그 장면을 본 사람들이 있었지만 모두 외면해버린다. 김 반장은 도와달라는 몽달 씨를 외면하며 세 사람을 밖으로 쫓아버리고 나는 지물포로 달려가 도움을 청한다. 지물포 주 씨에 의해 폭행은 멈춰지고 두 사람은 도망간다. 몽달 씨는 묻지 마 폭행을 당한거다. 김반장은 경찰을 부르겠다는 말에 불량배들이 도망을 치고 상황이 정리가 되자 뒤늦게 나타나 몽달 씨를 부축해서 집으로 데려다 준다.

 

그 사건 후 몽달 씨가 10일 만에 헬쓱한 모습으로 나왔는데 그는 여전히 김반장의 일을 거들고 있었다. ‘나’는 그날 밤 일을 다 보았다고 하며 김 반장은 나쁜 사람이라고 ‘몽달 씨’에게 말하지만 ‘몽달 씨’는 아니라며 쪽지를 한 장 건네준다. 아주 슬픈 시라면서..

 

“마른 가지로 자기 몸과 마음에 바람을 들이는 저 은사시나무는, 박해받는 순교자 같다. 그러나 다시 보면 저 은사시나무는 박해받고 싶어 하는 순교자 같다…….”

 

7살의 주인공의 시선으로 보아도 작품에서 김 반장은 아주 약삭빠른 인물이다. 사람을 이용만 해 먹고 급할 때는 도와주지는 않는 이해타산이 빠른 인물의 전형이다. 아이의 시선으로 볼 때 세상은 부조리투성이다. 지금도 이런 김반장 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장면들이 많지 않나. 

 

길거리에 누가 쓰러져도 관심 없고, 어떤 일이 생겨도 자신이 피해당할까 봐 피해 가기 일쑤다. 경찰에 신고라도 해주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냥 그 장소를 피해 나만 안전해지면 가던 길을 간다. 세상은 넓고 세월은 빠르며 누구 하나 없어져도 아무도 모른다.

 

작가는 시를 통해 ‘몽달 씨’가 세상의 부조리를 그냥 받아들이겠다는 마음을 전하고 김 반장의 비열한 마음과 몽달 씨의 순수한 마음을 대비시키면서 어린아이의 눈을 통해 우리 마음의 메마름과 비열함을 비판하는 것이다. 누가 원미동 시인을 얼빠진 시인이라 할 것인가. 내가 보는 원미동 시인은 그냥 그는 순수하게, 인간답게 살고 싶을 뿐이다.

 

 

[민병식]

시인, 에세이스트, 칼럼니스트

현)대한시문학협회 경기지회장

현)신정문학회 수필 등단 심사위원

2019 강건문화뉴스 올해의 작가상

2020 코스미안상 인문학칼럼 우수상

2021 남명문학상 수필 부문 우수상

2022 신정문학상 수필 부문 최우수상

sunguy2007@hanmail.net

 

작성 2022.11.09 11:25 수정 2022.11.09 11:2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