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새 지구촌 운동 - 코스미안 프로젝트New Global Momvement: - Cosmian Projects

이태상

“21살이던 7년 전만 해도 한국어를 몰랐고 한국인을 만나 본 적도 없어요.”
 
지난 2016년 5월 16일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The Vegetarian)’를 영어로 번역해 맨부커상(the 2016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Fiction)을 공동수상한 데보라 스미스  (Deborah Smith 당시 28세) 양의 말이다.
 
영국 국영방송 BBC는 이렇게 보도했다. 21세까지 영어밖에 모르던  스미스는 영문학 학위를 런던대학에서 받으면서 영한 번역가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게 돼 번역가가 되기로 결심했 다.그러면서 스미스의 말을 인용했다.
 
“난 한국문화와 아무런 접촉이 없었다. 그래도 나는 번역가가 되길 원했다. 왜냐하면 번역은 읽기와 글쓰기를 겸해 동반하기에 나는 외국어를 배우고 싶었다. 한국어가 이상하게도 내게는 명백한 선택어 같아 보였다. 실제로 영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거나 아는 사람이 없는 까닭에서였다. I had no connection with Korean culture. I don’t think I had even met a Korean person but I wanted to become a translator because it combined reading and writing and I wanted to learn a language. Korean seems like a strangely obvious choice, because it is a language which practically nobody in this country studies or knows.”
 
소설 채식주의자는 스토리 중심의 구성이 아니어서 번역이 쉽지 않은  작품이라 절제된 문체에 함축된 의미를 영어로 표현하기가 극히 어려웠을 텐데, 문학 평론가 보이드 톤킨Boyd Tonkin 심사위원장은 “완벽하게 적합한 번역”이라고 극찬하며 “소설이 지닌, 아름다움과 공포의 기괴한 조화를 영어로 대목마다 잘 표현 했다. Deborah Smith’s perfectly judged translation matches its uncanny blend of beauty and horror at every turn.”고 평했다.
 
어려서부터 이중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이중원어민도 아니고 같은 동양권도 아닌 서양 여성으로 21세 때 처음으로 한국어를 한국도 아닌 영국에서 교재를 통해 배우기 시작해 평생토록 매달렸어도 불가능했을 이런 기적 같은 일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을까.
 
내가 추리 판단해 보건대, 데보라 스미스가 ‘번역’을 하지 않고 ‘반역’ 을 해서인 것 같다. 흔히 번역도 창작이라고 하지만 그냥 창작이 아니고 ‘반역(反逆)’의 창작을 했기 때문이리라.
 
일찍이 독일의 시인 칼 빌헬름 프리드리히 슐레겔Karl Wilhelm Friedrich Schlegel (1772-1829)은 “좋거나 훌륭한 번역에서 잃어버리는 것이 바로 최상의 것이다. What is lost in the good or excellent translation is precisely the best.”라고 했다는 데 ‘반역의 창작’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리라.
 
이 ‘반역의 창작’은 문학작품 번역에만 적용되는 게 아니고 인생 전반  각 분야 삶 전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닐까. 해 아래 새것이 없다고 하지만, 각자는 각자대로 늘 새롭게 느끼고 생각하며 체험 하는 걸 창의적이고 독자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리라.
 
데보라 스미스의 경우,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우선 그녀가 남들이  안 하는 한국어를 선택했다는 거다. 남의 뒷다리나 긁지 않고, 다들 서쪽으로 우르르 떼 지어 몰려갈 때 자신은 그 반대로 남이 안 가는 동쪽으로 향했다는 말이다. 이것이 개척정신이요 모험심이며 탐험가의 기질이 아니겠는가.
 
다음으로 내 경험상 짐작하건대 그녀는 ‘채식주의자’ 한 문장 한 문장, 한 구절 한 구절, 한 단어 한 단어, 한 음절 한 음절을 결코 직역하지 않고 한국어가 아닌 영어식으로, 그것도 다른 서양인 이나 영국인이 아닌 자기만의 스타일로 의역했음이 틀림없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토록 특출나게 뛰어난 쾌거를 이룩할 수 없었으리라.
 
불후의 미국 고전 영화 ‘에덴의 동쪽East of Eden’과 ‘이유 없는 반항Rebel Without a Cause’ 그리고 ‘자이언트Giant’ 이렇게 단 세 편만 찍고 요절한 전설적인 배우 제임스 딘James Dean (1931- 1955)의 생전 인터뷰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이 인터뷰 에서 그는 자신이 연기를 하지 않고 자신이 역을 맡은 인물이 돼서 그 인물의 삶에  순간순간 완전몰입해서 살았노라고 했다.
 
내가 1955년 대학에 진학해 얼마 안 됐을 때, 청소년 영화 신인 남자  주인공 배우를 찾는다는 광고를 보고 응모해 수백 명의 경쟁 자를 제치고 최종 선발되었으나, 6개월 동안 지방 로케를 해야 한다고 해서 휴학을 하나 잠시 고민하다가 고사固辭하고 포기한 적이 있다. 그 당시 오디션에서 나는 건네받은 대사 대본을 읽어 보지도 않고 즉흥적으로 내키는 대로 연기 아닌 ‘실연實演’을 해 보였던 기억이 있다. 아마도 그래서 낙점이 되었었으리라.
 
또 모르긴 해도, 남들처럼 다 지망하는 정치과다 법과다 의과다 상과다 경제과다 또는 신학 神學에 목을 매었더라면 지난 80여 년간 살아온 내 삶을 살아보지 못했을 것이다.
 
세상이 주는 의미 없는 ‘상’을 타거나 그 누구의 ‘추천’을 받아 문단에 ‘시인’이나 ‘작가’로 등단한 일 없어도, 내가 꼭 쓰고 기록 하고 싶은 책을 그동안 20여 권 낼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나는 더할 수 없이 만족스럽고 행복할 뿐이다. 이것이 어려서부터 내 나름의 ‘반역의 창작’적 삶을 살아온 결실이리라.
 
몇 년 전 서울 지하철 강남역 10번 출구에서 여성 혐오 반대 운동이 벌어지고 있던 2016년 5월 21일 분홍색 코끼리 인형 옷을 입은 이가 등장, “육식 동물이 나쁜 게 아니라 범죄를 저지르는 동물이 나쁜 겁니다. 선입견 없고 편견 없는 주토피아 대한민국 주토피아 세계 치안 1위지만 더 안전한 대한민국 남녀 만들어요.” 라는 글귀가 적힌 보드를 들고 있었단다.
 
2015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에비치 Svetlana Alexandrovna Alexievich (1948 - )는 논픽션이란 사실적인 서술로 하나의 큰 문제를 던지고 있다. ‘왜 사람들의 역사적인 수난이 자유로 이행되지 않는가.’ 이 문제가 이차대전 후 러시아의 구전口傳 역사를 다룬 저서 밑바탕에 깔려 있다.
 
2016년 5월 그녀의 첫 영문판 작품으로 ‘중고시간: 소련연방의 최후Secondhand Time: The Last of Soviets’가 미국에서 출간 되었을 때 뉴욕타임스의 서평 전문 기자 드와이트 가너 Dwight Garner는 5월 25일자 서평에서 지난 2006년 푸틴의 생일날 암살당한 저널리스트 안나 팔릿콥스카야Anna Politkovskaya (1958-2006)와 스베틀라나 일렉시에비치를 맥심 고르키 Maxim Gorky (1868- 1936)의 단편소설 ‘단코의 불타는 심장 Danko’s Burning Heart: Russian Folktale’에 나오는 단코가 상징하는 인물들이라고 평했다.
 
이 소설에서 사람들 한 무리가 한밤중에 숲속에서 길을 잃는다. 단코는 이들을 안전하게 인도하고 싶은 열망에 가슴이 불타오른다. 그러다 그는 이 불타는 심장을 그의 가슴에서 뽑아내 길을 밝힌다.
 
알렉시에비치가 직접 청취해 수집한 수천 명의 생생한 증언들 가운데  ‘체르노빌에서 들리는 목소리Voices from Chernobyl’에 등장하는  한 여인이 있다. 남편이 방사선병으로 죽어가기 전에 극심한 고통에서 비명을 지를 때면 여인이 할 수 있는 건 둘뿐이었다. 식도용 튜브에 보드카를 퍼붓든가 망가진 남편 몸에 섹스를 하는 것이었다. 전쟁  스토리에 지친 알렉시에비치는 현재 두 권의 저서를 집필 중인데 이 실화 모음집에 실릴 이야기 들은 모두 나이 듦과 사랑에 관한 것들이라며 픽션을 써볼 생각은 해보지 않았느 냐는 질문에 “삶 자체가 훨씬  더  흥미롭다. Life is much more interesting.라고 대답한다.
 
흔히 ‘진실은 픽션보다 이상하다Truth is stranger than fiction’이라고 한다. 일간 신문 한두 장만 들춰봐도 확인되는 사실이다. 그 어떤  허구보다 진실인 사례 하나 들어보리라.
 
영국 국영방송 BBC가 한강과 ‘채식주의자’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 의 세계 3대 문학상인 영국의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수상 후  2016년 5월 17일 ‘채식주의자: 한국어를 배우고 상을 타는 방법’이란 제목의 뉴스에서 스미스가 2010년부터 한국어를 배운 사실을 언급하면서 한국어가 어떤 언어인지를 살펴봤다.
 
BBC는 세종대왕이 빌려 쓴 한자 대신 28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한글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백성들이 쉽게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됐다며 “슬기로운 자는 아침을 마치기도 전에 깨우칠 것이고, 어리석은 자라도 10일 안에 배울 수 있다”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문구를 전했다.
 
그러면서 본질적으로 익히기 쉬운 언어는 없다는 언어학자들의 통상적인 견해를 소개했다. 로버트 파우저Robert J. Fouser  전 前서울대  교수는 “한국어 배우기 난이도는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언어가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했다.
 
미국인 외교관들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미국외교원FSI은 한국어를 배우기에 “굉장히 어려운 언어”로 분류했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이 영어와 유사성이 있는 덴마크어와 네더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노르웨이어, 포르투갈어 등을 일반적, 전문 적으로 능숙한 수준으로 배우려면 575-600시간 23-24주 수업 이 필요하지만, 한국어의 경우엔 2,200시간 88주 수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BBC는 10개가 넘는 언어를 익힌 호주 번역가 도너번 나이절이 1년간 한국에 체류했을 때 3~4개월 만에 꽤 의사소통  을 잘할 수  있었고 8개월 만에는 편안하게 유창한 수준으로 말할 수 있었다는 사례를 언급했다. 나이절은 한국어가 문법이 복잡하 지 않으며, 영어와  달리 보통 쓰는 방식대로 발음하면 된다고 말했다. 또한 명사에 ‘하다’ 를 붙이면 동사나 형용사를 쉽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번역은 언어를 배우는 것과 다르다. 창의적인 과정이며, 스미스가 장편 ‘채식주의자’를 번역해 상을 공동 수상한 이유인 것이다. 심사위원단은 해당 소설이 “영어로 완전한 목소리를 갖췄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글 및 영문 버전으로 이 책을 읽은 한국인 독자는 “번역본도 원작만큼 좋은 작품”이라고 평했다. 번역가 스미스는 책의 리듬을 찾으려고  했다면서 “당신이 위대한 한국 문학 작품을 번역하고 있다면, 그 번역은 영문학으로도 훌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방해가 될 뿐이라면 통사론(문장의 구조나 구성을 연구하는 방법)을 두고 씨름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BBC는 “번역가는 상을 받을 만하며, 세종대왕도 마찬가지다.”고 전했다. ‘세종대왕도 마찬가지다’ 정도가 아니고 비교도 할 수 없이 노벨상,  맨부커상 등 그 어떤 상을 탈 정도가 아니라 그 이상 가는 ‘세종대왕상’ 을 줄 입장이어라.

 

기후변화를 포함해 인류의 거의 모든 비극과 불행이 근본적으로 잘못된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임이 이젠 너무도 절실 절박하게 자명해지고 있다면 이 절체절명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니 우주 자연 본래의 프레임을 되찾는 일만이 그 해법이 되리라.

 

최근 ‘기생충’에 이어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것이 전자가 인류/인간이 자연 만물 중에 최악의 ‘기생충’임을, 그리고 후자는 서구 자본주의 물질문명의 ‘너 죽고 나만 살자’는 프레임에 우리 모두 빠져있음을 상기시켜주는 까닭에서가 아니랴.

 

그렇다면 ‘우리 모두 잘살아보세’ 새마을 운동을 확대/확장/확충해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 만물의 공생과 상생을 도모할 새지구촌 운동 ‘코스미안 게임’으로 ‘코스미안 프로젝트를 펴나갈 때가 왔어라.
 

 

코스미안 프로젝트
 
1. 유엔을 대체할 씨유 - 그 본부를 서울에 창설 Founding The CU(Cosmian Uniion) to replace The UN – Hosting Its Headquarters in Seoul
 
2. 비무장지대에 세계 평화 코스미안 공원 조성 Building The WPCP(World Peace Cosmian Park) at DMZ
 
3. 자주독립 한반도 평화통일 정당 코스미안당 창당 Founding The Cosmian Party (Independent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Political Party)
 
4. 서양 기독교의 ‘원죄’(‘원복’이 아닌)와 ‘만물의 영장’이란 오만방자한 소아병적이고 근시안적인 인류 중심, 그것도 백인 남성 위주의 ‘선민/선종 사상에 세뇌된 ‘인간 기생충’을 대량 생산하는 공장 같은 기성/기존의 대학과는 전혀 달리 우리 동양 선인들의 ‘물아일체/피아일체’와 우리 단군의 ‘홍익인간/홍익만물’ 그리고 우리 동학 천도교의 ‘인내천’ 사상에 기초한 ‘코스미안 사상’을 온 인류에게 계몽 선도할 그로벌’코스미안대학’을 평창에 설립 Founding the global Cosmian University in Pyongchang, Korea
 
5 코스미안상 - 2023년이면 제5회째가 될 - ‘코스미안상’을 노벨상 능가 하는 영예롭고 뜻깊은 상으로 격상 시킴 Sponsorship of The Cosmian Prize (the 5th in 2023) eventually to surpass the Nobel Prize in honor and significance, and etc.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1230ts@gmail.com
 

 

작성 2022.11.26 10:33 수정 2022.11.26 10:5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