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과학자인 베블런의 저서 〈유한계급론 〉(1899)에서 "상류층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는 「과시적 소비」를 지적한 데서 생겨난 베블런 효과라는 말이 있다.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한 허영심에 의해 수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수록 오히려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말한다. 베블런은 부자의 생활상을 묘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는 ' 과시적 소비', '금전상의 경쟁' 등의 말을 사용하였다.
값이 현저하게 비싼 명품 제품 등에 대해 허영심을 부추기면 수요가 증대하지만, 가격이 떨어지면 그 가치와 희소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요도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인 명품 선호는 여성의 허영심을 부추기는 베블런 효과의 상술이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주위 사람을 의식하는 소비를 하며, 타인의 소비행태를 살피면서 주위 사람의 행태와 비슷하게 자신의 소비를 맞추어 가는 베블런 효과가 적용된다.
이처럼 약삭빠른 상인들은 베블런 효과를 이용하여 물건을 판촉하기도 한다. 비근한 사례로 상품이 팔리지 않자 팔리지 않은 상품의 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려 고가의 가격표를 붙여서 소비자의 허영심을 부추기는 광고를 했더니 팔리지 않던 상품이 날개 돋친 듯이 팔리더라는 사례가 바로 베블런 효과를 이용한 상인의 상술이다.
이 말과 비슷한 오리 속담에 “남이 장에 가니 거름지고 장에 따라간다.” 또는 “망둥이가 뛰니 꼴뚜기도 뛴다.”는 말이 있다. 베블런은 경제적 약탈 능력이 뛰어날수록 존경의 대상이 되고, 약탈적 본능이 사회에 지배적일 때 유한적인 약탈계급의 관례가 주도하게 된다고 자본주의 계급사회를 비판하고, “야만 사회에서는 약탈의 능력이 분명히 드러나기 때문에 쉽게 대중들의 존경을 불러일으키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그것이 감추어져 있어서 유한계급은 과시적 소비와 과시적 여가의 이용을 통해 그들의 약탈 능력을 드러낸다.
따라서 유한계급은 가치 없고 값이 비싼 것일수록 과시적 소비의 품목으로 높이 치고, 값이 싸고 유용한 것일수록 천하고 품위 없는 것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물질주의적인 오늘날의 자본주의 소비사회를 꿰뚫어 본 이론이지만 교육현장에서 공교육을 불신하고 사교육 시장의 족집게 과외 학원이나 교사에 줄을 서는 사례나 비싼 학원비를 부담하더라도 사교육 시장을 선호하는 현상도 베블런 효과가 적용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부정적으로 적용되는 베블런 효과를 학교 교육에 긍정적으로 적용하여 명작도서 읽기를 부추긴다거나 교육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 장소나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유명시인이나 작가, 사회 명사 만나기 학습을 전개해 보면 좋을 것 같다.
상류층과 하류층의 위화감과 경쟁심을 불러일으킬 우려는 있으나 청소년단체 가입 활동, 취미클럽 등에 교육적으로 적용한다면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김관식 시인]
노산문학상 수상
백교문학상 대상 수상
김우종문학상 수상
황조근정 훈장
김관식 kks419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