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어르신일자리 6만9천개 참여자 모집

서울시, 월 60시간 일하고 최대 71만원 받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2,000개 늘어

 

2023년 「어르신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을 시작한다. 12월 5일부터 25개 자치구에서 모집하며, 참여를 원하는 어르신은 자치구별 시니어클럽(노인일자리지원기관), 노인종합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대한노인회 지회 등 어르신일자리 사업 수행기관으로 문의·신청하면 된다고 서울시가 밝혔다.

 

「어르신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은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2023년에는 일자리 69,900개를 마련했으며 총 2,665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2023년 어르신일자리 사업의 특징은 베이비 붐 세대의 노년층 진입 양상을 반영하여, 사회 경험과 경력을 활용 가능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2,000여개 확대했다는 점이다. [사회서비스형]은 월 60시간 일하고 월 최대 71만원 급여(주휴수당 포함)를 받는 일자리로, 돌봄·복지 시설 등에서 다양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 가능하며, 총 8,402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매출이 늘어나면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시장형] 일자리도 늘렸다. 카페 운영, 소규모 공산품·식품 제조, 지하철 택배 등 다양한 일자리를 지속 발굴하고 있으며, 만 60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하다. 2022년보다 1,200개 확대하여 총 6,049개의 시장형 일자리를 마련할 예정이다.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가 신청할 수 있는 [공익활동형]은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 취약계층 지원, 공공시설 봉사 등 다양한 활동이 마련되어 있다. 총 53,249개의 일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며, 정부 예산안과 서울시 예산안이 심의 중으로, 그 결과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 월 30시간 활동하고 27만원의 활동비를 수령하게 된다.

 

한편, 만 60세 이상이며 민간 일자리 취업을 원하는 어르신께 취업을 알선하거나 단기 파견을 수행하는 취업알선형도 2,200개를 추진한다.

 

2023년 참여자 모집은 자치구 별로 12월 5일부터 2~3주간 진행 중이다. 모집 기간이 끝나더라도, 대기 신청을 하거나, 차후에 추가 모집이 공고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자치구 어르신일자리 담당 부서 또는 어르신일자리 수행기관으로 문의하면 된다. 거주지와 가까운 수행기관은 서울시 다산콜센터 02-120으로 전화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참여자격은 사업 유형 별로 다르며, [사회서비스형]은 만 65세 이상, [시장형]은 만 60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하다. 단, [공익활동형]은 만 65세 이상이면서 기초연금 수급자만 신청할 수 있다. 한편,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자,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장기요양보험 등급 판정자, 다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자는 신청할 수 없다.

 

김상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노인 인구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는 상황에서 일자리는 노후 소득 보전뿐 아니라 어르신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 정신적·신체적 건강 유지, 공익활동 증진 등 사회 공동체 전반을 이롭게 한다”며 “서울시는 시민 모두가 행복한 고령사회를 위해 다양한 어르신일자리 확충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ㅇ 자치구별 수행기관은 다산콜센터(02-120)로 문의

ㅇ 자치구별 모집일정 상이하며, 토·일요일은 제외

 

자치구

신청기간

자치구 담당 부서

1

종로구

12.5.~12.13. / 12.19.~12.23.

어르신여성과02-2148-2205, 2206

2

중구

12.12.~12.23.

사회복지과02-3396-5369

3

용산구

12.12.~12.28.

어르신청소년과02-2199-6997

4

성동구

12.8.~12.21.

어르신장애인복지과02-2286-6293, 6193

5

광진구

12.12.~12.23. 

어르신복지과02-450-7407

6

동대문구

12.5.~12.16. 

어르신장애인복지과02-2127-5628

7

중랑구

12.5.~12.16.

어르신복지과02-2094-1567

8

성북구

12.12.~12.23. 

어르신복지과02-2241-2524

9

강북구

12.12.~12.23. 

어르신복지과02-901-6713

10

도봉구

12.5.~12.16.

어르신장애인과02-2091-3057

11

노원구

12.1.~12.14.

어르신복지과02-2116-3756

12

은평구

12.5.~12.16.

어르신복지과02-351-7156~7

13

서대문구

12.5.~12.23.

어르신복지과02-330-1773

14

마포구

12.15.~12.21.

어르신동행과02-3153-8856, 8858

15

양천구

12.5.~12.16.

어르신복지과02-2620-3371

16

강서구

12.5.~12.23.

어르신복지과02-2600-6492

17

구로구

12.5.~12.16.

어르신청소년과02-860-2825

18

금천구

12.12.~12.28.

어르신장애인과 02-2627-1383

19

영등포구

12.5.~12.28.

어르신복지과02-2670-3412

20

동작구

12.12~12.28.

어르신정책과 02-820-9351

21

관악구

12.5.~12.16.

노인청소년과02-879-6155

22

서초구

12.5.~12.23.

어르신행복과02-2155-8872

23

강남구

12.5.~12.23.

어르신복지과02-3423-5912

24

송파구

12.5.~12.23.

어르신복지과02-2147-2927

25

강동구

12.12.~12.28.

어르신복지과02-3425-8750

 

ㅇ 사업유형

구 분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정의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사회활동

경력과 경험을 활용한 일자리

참여연령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

만 65세 이상

만 60세 이상

만 60세 이상

활동/근무

내용

노노케어

취약계층지원

공공시설봉사

경륜전수활동

교육시설 학습보조, 시니어 컨설턴트, 취약계층 공익증진 서비스 등

소규모 매장(식품제조, 카페 등) 및 아파트 택배, 지하철 택배 등

 

시험감독관, 주유원, 단순노무직(경비 등), 관리사무직 등

 

활동/근무

기간

평균 11개월

(10~12개월)

10개월

*근무기간, 시간, 급여는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근무기간, 시간, 급여는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

근무시간

월 30시간 

(일 3시간 이내)

주 15시간, 

월 60시간(4주)

활동비/급여

월 27만원

월 71만원

(주휴수당 포함))

2023년 일자리수(안)

53,249개

8,402개

6,049개

2,200개

 

작성 2022.12.09 09:31 수정 2022.12.09 09:4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Acoustic Remix] 어쿠스틱 리믹스로 완성된 명곡! #lose..
어쿠스틱 감성으로 재해석한 팝송!! 듣기만 해도 힐링이 되는 플레이리스트..
이 노래 같이듣고싶은 사람 있어?..고백하고싶을때 노래 추천 1위
너가 들어주면 좋겠어..마음을 전하고 싶을때 들려주는 노래
2025년 8월 21일
햇살과 매미 소리
광복 80년 만에 졸업장 받는 독립운동가들 / KNN
사진 한 장 없는 독립투사의 마지막 한 마디 #광복절 #독립운동 #독립운..
[자유발언] 국악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나팔꽃
차은우급 아기냥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