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간세설] 무엇이 문제인가

이태상


최근  3.1운동 100 주년을 맞아 많은 행사가 있었고  여러 사람들의 글이 각종 언론 매체에 게재되면서 일제 강점기의 역사를 반추하는 계기가 되었다.

약육강식의 자연계 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의 인류역사를 통해서 보면 흥망성쇠와 생사여탈은 계속되고 있다. 가까운 예로 같은 민족인 고구려, 백제, 신라가 원수처럼 각축을 벌였던 시대가 있지 않았는가.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살아 남기 위해 우리는 친중, 친일, 친러, 친미를 할 수밖에 없었던 시절도 있었다.

조선 왕조 때에는 당파싸움으로 국력을 탕진하다 못해 일본의 속국으로 36년 동안 지배를 받았다. 1945년에 해방을 맞았으나 미소 냉전의 분출구로 한국전이라는 동족상잔까지 겪었고 그 후유증이 70년 가까이 이어져 오고 있다.

일제 강점기 때의 징병과 징용, 성노예 등으로 잡혀간 사람들은 일본 제국주의가 저지른 어두운 역사의 가장 큰 피해자들임에  틀림없지만, 따지고 보면 평범한 일본인들 역시 2차대전의 희생자요 피해자들이다.
우리민족과 뿌리가 같다는 아메리카 인디언들과 아프리카에서 미국으로 끌려와 노예 생활을 한 흑인들 또한 인류 역사상 큰 피해자들이다. 베트남전에 파병되어 고엽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나라의 참전용사들 역시 어두운 역사의 피해자들이다. 
이런 질곡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없을까? 전 세계를 식민지화하고 자연생태계의 질서를 파괴해 온 서양 물질문명의 ‘원죄의식’과 ‘선민사상’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의 홍익인간이나 인내천 사상을 온 세상에 펼치는 것이 답이 되지 않을까. 자연의 섭리를 따르는 것 말이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신앙처럼 받드는 다음과 같은 말을 깊이 되새겨 보자.

“강물은 자신의 물을 마시지 않고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따 먹지 않는다.

햇빛은 스스로를 위해 비추지 않고
꽃들은 스스로를 위해 향기를 내뿜지 않는다.

남을 위해 사는 것이 자연이다.
네가 행복할 때 네 삶은 좋다.
하지만 너 때문에 남들이 행복하면 
그것이 훨씬 더 좋은 삶이다.

남을 위해 살지 않는 자는
삶을 살 자격이 없다.
우리의 본질은 봉사하는 것이다.”

"The rivers don't drink their own water;
the trees don't eat their own fruits.
The sun doesn't shine for itself;
the flowers don't give their fragrance
to themselves.
To live for others is nature's way---
 Life is good when you are happy;
but life is much better when others are happy
because of you!!!
Who doesn't live to serve,
doesn't deserve to live.
Our nature is service."

이것이 바로 우주의 나그네인  '코스미안’ 의 참된 소명이고  친인(親人), 친지(親地), 친천(親天)파가 되는 길이 아닐까.

재미 작가 이태상

 



편집부 기자
작성 2019.03.08 10:14 수정 2022.12.16 17:4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