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취업준비를 하면서 청년활력소에서 입사지원용 자기소개 영상 제작을 하여 기업과 화상면접까지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화상면접이 보편화되면서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텐데, 이럴 때 ‘청년활력소’ 정말 강력 추천 드립니다. 덕분에 원하는 기업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청년활력소 이용자)
서울시는 N포세대로 불리는 청년들이 미래와 희망을 포기하지 않도록 취업상담, 직무멘토링, 취업역량 강화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서울 광역일자리카페’ 10개소에서 2023년부터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한다고 밝혔다.
‘서울 광역일자리카페’는 1:1 취업상담, 직무멘토링, 취업특강, 이력서 사진촬영, 모의 면접, 스터디룸 대여 등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종합 취업지원 공간으로, 작년에만 9만 5천여명이 이용했다. 광역 일자리카페는 취업을 준비하는 만 15세~39세 이하 청년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권역별 광역 일자리카페 정보와 취업프로그램 운영 내용은 서울일자리포털(job.seoul.go.kr)과 일자리카페별 누리집(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 광역일자리카페’는 총 10개소가 운영 중이다. 이 중 서울시에서 3개소는 직접 운영하고 있다.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7개 일자리카페는 자치구에서 시설조성, 상담 인력을 확보하고, 서울시에서는 우수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시에서 운영 중인 광역일자리카페는 청년활력소(제1·2), 서울시청년일자리센터, 강동일자리카페 등 3개소이고, 자치구에서 운영 중인 광역일자리카페는 동작(노량진 청년일자리센터), 구로(청년이룸), 마포(청년나루), 성동(청년일다방), 양천(광역일자리카페), 강남(취·창업 허브센터), 노원(청년내일) 등 7개소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서울 광역일자리카페‘에서 청년 구직자의 이용수요가 많은 자기소개서 컨설팅, 현직자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은 강화하고 면접컨설팅, 기업 직무분석·상담 등 프로그램은 신규로 편성·운영할 계획이다. ’22년도 일자리카페 프로그램 참여자(5,356명)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 자기소개서 컨설팅(27%), 면접역량강화 컨설팅(21%), 현직자 멘토링(19%), 직무분석·기업분석(14%)을 희망한다는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하였다. 청년활력소(제1·2), 서울시청년일자리센터, 강동일자리카페 3곳은 서울시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 청년활력소 >
취업준비생의 만족도와 편의성이 높은 서울 광역일자리카페는 단연 ‘청년활력소’이다. 서울특별시청 지하 1층에 위치한 ‘청년활력소’는 코로나-19 이후 취업현장에서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비대면 면접에 특화된 시설인 제1청년활력소와 ▲청년종합지원시설인 제2청년활력소로 나누어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총 5천 4백여명의 취업준비생이 2개 청년활력소를 이용했다. 청년활력소는 ① 청년에게 ‘활력소(活力素:활동하는 힘이 되는 본바탕)’가 된다는 의미와 ② ‘활력을 주는 장소(活力所)’라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제1청년활력소(21.12 개소)’는 노트북, 마이크, 방음부스 등 화상면접실(3개실)에서 비대면 면접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입사 지원용 자기소개 영상을 제작·편집할 수 있는 영상실도 이용할 수 있다. ’22년 한해에만 1천 6백여 명이 이용했다. 매주 화요일마다 이력서 사진촬영, 면접 메이크업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사진 촬영에 필요한 촬영용 정장도 무료로 현장 대여해 주고 있다.
‘제2청년활력소’(22.6 개소)는 4인·6인용 스터디카페(2개실), 취업상담실(1개실), 서울영테크상담실(2개실), 청년 마음건강 상담실(2개실), 청년부상제대군인 상담센터(1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일별로 맞춤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개소 이후 3천 8백여 명이 이용했다.
‘스터디카페’는 청년 구직자들의 취업 준비활동과 정보교류를 위한 공간이다. 대형 모니터, 화이트보드 등 취업스터디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스터디카페 6인실에서는 매일 오후 1시부터 취업특강, 자소서 컨설팅,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청년취업 지원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취업상담실’은 직업상담사 2명이 상주, 전문적인 진로·취업 상담과 취업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적극 제공할 계획이다.
구 분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프로그램 | 취업 특강 | 사진촬영·메이크업 | 면접 컨설팅 | 직무·기업분석 | 멘토링 |
내용·규모 | 자기소개서,면접 등 취업스킬 등 교육 (10명 내외) | 이력서 사진촬영, 면접 메이크업 (10명 내외) | 면접예정자 대상 1:1, 그룹컨설팅 (10명 내외) | 희망 직무·기업 분석 (10명 내외) | 직무별 현직자 멘토링 등 (4~6명) |
|
|
| ||
스터디카페 | 취업상담실 | 서울영테크상담실 | 청년마음건강 상담실 | 청년부상제대군인상담센터 |
‘서울영테크 상담실’은 청년의 체계적인 자산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자 종합재무상담, 신용점수관리, 수입지출관리, 금융 상품분석 등 맞춤형 1:1 재무상담을 운영한다. 우울·불안 등으로 지친 청년들의 마음 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청년 마음건강 상담실’을 운영한다. 한편, 군 복무 중 부상으로 제대한 청년 유공자를 위해 원스톱 상담창구로 조성한 ‘청년부상제대군인 상담센터’는 청년부상 제대군인의 애로사항 상담과 함께 일자리가 필요한 청년에게 전문적인 취업상담도 제공한다.
구 분 | 운영시간 | 이 용 방 법 |
스터디카페(4인, 6인) | 월~금,09:00~18:00 | 서울일자리포털(job.seoul.go.kr)사전 예약 |
취업상담실 | 월~토,09:00~18:00 | 서울일자리포털(job.seoul.go.kr)사전 예약 |
서울 영테크 상담실 | 월~토,09:00~20:30 |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사전 예약 |
청년 마음건강 상담실 | 월~토,09:00~20:30 |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사전 예약 |
청년부상제대군인상담센터 | 월~금,09:00~18:00 | 유선(02-6354-2030~2) 사전 예약 |
<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중구 장교동)는 인근 학원가를 이용하는 취업준비생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그룹 스터디룸, 다목적홀, 취업상담 세미나룸 등 다양한 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며, 취업상담·일자리 매칭 서비스, 인공지능(AI)면접체험실 운영 등 각종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 강동 일자리카페 >
암사역 4번출구에서 도보 5분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강동일자리카페는 취업상담, 현직자멘토링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AI)면접체험실, 스터디룸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며, ’23년은 퍼스널 컬러(개인 맞춤 색상)진단, 면접 컨설팅 등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시 직영 광역 일자리카페 요일별 프로그램】
카페명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비고 |
공통 | 1:1 취업상담 상시운영 | ★특화 프로그램 | |||||
청년 활력소 | 취업특강·멘토링 | 이력서 사진촬영 면접 메이크업 | 면접 컨설팅 | ★기업·직무분석 상담 | 면접 컨설팅 | 취업특강·멘토링 |
|
청년 일자리 센터 | 면접 컨설팅 | 취업특강·멘토링 | 면접 컨설팅 | 취업특강·멘토링 | 이력서 사진촬영 면접 메이크업 | 취업특강·멘토링 | ★ 직무·채용 설명회 개최 (월1회) |
강동 일자리카페 | ★퍼스널 컬러진단 | 면접 컨설팅 | 취업특강·멘토링 | 면접 컨설팅 | 취업특강·멘토링 | 면접 컨설팅 |
|
구로 청년이룸, 강남구 취·창업허브 등 자치구에서 운영 중인 서울 광역일자리카페(7개소)에서도 2023년부터 취업지원을 위한 자체 프로그램을 기획, 지원할 계획이다.
구로 청년이룸 : 직무중심 채용에 대비, 조직 실무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미니인턴」 프로그램, 정보통신기술(IT) 회사와 개발직무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을 위한 코딩 테스트 준비반을 ’23. 3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강남구 취·창업 허브센터 : 게임 제작 교육 및 실제 게임 제작 실습까지 경험할 수 있는 직무교육을 연중 운영할 계획이다.
송호재 서울시 경제일자리기획관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에 대해 5천여명이 넘는 현장 구직자들에게 이야기를 듣고, 2023년도 ‘서울 광역일자리카페’ 운영 방향을 설정했다.”며, “청년 취준생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청년 취준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시설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