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기자: 서문강 [기자에게 문의하기] /
雨中獨吟 우중독음
雨多春夏水長流 우다춘하수장류
野路山程摠是洲 야로산정총시주
喜樂無加逢故友 희락무가봉고우
風烟能畵上高樓 풍연능화상고루
論詩略述心中事 논시약술심중사
飮酒渾忘亂裏然 음주혼망난리연
居僻生涯如此拙 거벽생애여차졸
佳辰難得一淸遊 가진난득일청유
비오는 날 홀로 읊음
봄여름 비가 많아 시냇물 길게 흘러
들길이나 산길에는 모두가 물이로다.
친구를 만난다면 더없이 기쁘겠고
높은 누각에 오르면 그림 같은 경치인데,
마음 속 일을 대략 시로 지어 읊어볼까.
난리 같은 세상사 잊게 술이나 마셔볼까.
벽지에 살다보니 이토록 옹색하다.
한바탕 놀기 좋은 시절 얻기 어렵구나.
[이은춘]
해산 이은춘은 1881년 12월 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년 11월 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