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통신수단은 자꾸 바뀐다.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야 할 수 있는 대화를 전화가 만들어지면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서로 말을 전할 수 있게 되었다.
요즈음에는 이것도 불편하여 들고 다니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전화가 생겼다. 실로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편리함이다. 또한 아주 오랜 옛날은 물론이고 얼마 전 까지만 해도 문서를 직접 갖다주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던 것이 팩시밀리라는 기계가 생겨 전송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인공위성을 통해 달나라의 소식도 전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통신수단의 변화를 일일이 열거할 수 없다. 더군다나 요즈음에는 스마트폰까지 생겨 전달 방식이 간단하고 빠르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편지다.
요즈음에는 편지를 잘 쓰지 않는다. 컴퓨터를 통한 전자편지 즉 이메일로 서신을 전하는 사람들이 많다. 옛날처럼 볼펜이나 연필로 손으로 직접 써서 보내는 편지는 드물다. 여기에다 간단한 소식들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보내어진다. 따라서 편지에 붙일 우표를 파는 곳도 찾기가 힘들고 정성을 담아 편지를 넣을 우체통도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이것이 시대의 흐름이니 따라가야 하는 것이겠지만 옛정이 그리워지는 때도 있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의 경우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편리함이 있다. 빠른 시간에 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부음訃音이다. 문자메시지를 보고 장소와 발인 날짜를 금세 알 수 있으니 문상 일자를 쉽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몰라서 참석하지 못했다는 얘기는 나오지 않는다. 이전의 전보보다도 빠르다. 그리고 회사의 업무상으로 오가는 전자편지에 첨부할 내용이 있을 때 첨부파일로 자료를 보내면 편하기를 이루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유쾌하지 못한 경우도 간혹 있다.
이를테면 스팸 메시지는 말할 것도 없겠지만 명절이나 연말연시의 인사치레를 하는 경우다. 내용 하나로 여러 사람들에게 성의 없이 보내지는 것은 차라리 보내지 않는 것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간혹 들 때가 있다. 너무나 형식적이고 보내지 않으려니 다음에 만나면 미안할 것 같고 전화를 직접 하려니 귀찮아서 그런지 이런 문자메시지는 전혀 반갑지 않은 연락이다.
동네 어귀에서 집배원 아저씨가 편지를 갖고 오기를 손꼽아 기다리던 시절이 그다지 오래전의 일이 아닌데도 생경한 마음이 든다. 그 편지가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전해질 연애편지라면 더욱 가슴 설레는 일이었다. 몇 번이고 대문 밖을 서성이던 시절을 추억하는 일은 아름답기까지 하다.
요즈음의 방식대로라면 자판 몇 번 두드리고 클릭 한번 해 버리면 편지가 전자파를 타고 날아간다. 너무 삭막하다. 이것은 또박또박 한 두 글자씩 글씨를 쓰는 재미도, 우표를 붙이는 즐거움도 없다. 답장도 마찬가지다. 이전의 가슴 설레던 기분은 물론이고 우편 가방을 메고 먼 길을 마다하고 달려온 집배원 아저씨에게 시원한 물 한 모금 권하던 인정스런 광경은 이제 더 이상 볼 수 없을 것 같다.
내가 아는 어느 분의 집을 방문하니 울타리 옆에 나무로 만들어진 앙증맞은 우체통이 있었다. 그 집으로 배달되는 편지를 모아 두는 곳이었다. 오랜만에 보는 우체통. 그 안에 무엇이 들어 있을 까 하고 문을 열어 보았다. 공과금 통지서도 있었지만 눈에 띄는 것은 지인知人들이 보낸 편지였다. 우체통이 있어서 사람들이 편지를 보내는 것은 아닐 테지만 그 우체통은 하나의 상징적인 작품이었다.
손으로 눌러 쓴 편지 속에는 정성이 담겨 있는가 하면 묵직한 인정이 베여 있기도 하다. 가벼운 연락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상대방에 대한 기억을 오랫동안 할 수 있도록 한다.
오늘 당장이라도 ‘받는 사람은 그대’ ‘보내는 사람은 당신’으로 하여 한 통의 편지를 쓰고 싶어진다.
[김태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선박기관시스템 공학과 졸업(공학석사)
미국해운회사 일본지사장(전)
울산신문 신춘문예(등대문학상) 단편소설 당선 등단
사실문학 시 당선 등단
제4회 코스미안상 수상
이메일 :wavekt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