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함께 '탄소상쇄의 숲’ 만들어요

탄소흡수원 확충 및 한강변 환경정화를 위한 수변림 조성

사진 = 산림청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74회 식목일을 맞아 서울 강서한강공원에서 서울시, 한국중부발전, 한국임업진흥원, 이브자리와 함께 서울시민 700여명이 참여하는 식목행사를 개최(330일 오전 10)하여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생장 우수 포플러 품종으로 한강 탄소상쇄의 숲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탄소상쇄의 숲 조성 사업은 산림이 조성되지 않은 곳에 나무를 심어 탄소 흡수를 높이고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사업으로 2017년부터 서울 강서 한강공원에 3만평(10ha) 규모의 숲을 조성하는 5년 장기 프로젝트이며, 지금까지 한강변에 4.3ha의 숲이 조성되었다.

 

올해는 1.4ha 면적에 포플러를 식재하였으며, 이로써 한강 탄소상쇄 숲은 전체 5.7ha로 확대되었다. 이는 식재된 나무가 성년이 되는 20년 후에는 최대 65백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저장하여 승용차 135대가 20년간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재된 나무들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장기간에 걸쳐 육종한 미루나무와 이태리포플러이며, 생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병해충에 강한 나무들이다.  포플러는 다른 수종에 비해 생장속도가 빨라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흡수원 및 바이오에너지 발전을 위한 바이오매스 생산림으로 조성되고 있다.


또한, 포플러는 물을 좋아하여 수변지에서 잘 자랄 뿐만 아니라, 수분 증발산량이 성숙목 한 그루당 하루 50100리터로 다른 수종에 비해 오염물질 흡수량이 높아 수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와 더불어, 잎의 면적이 넓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흡수능도 우수하여 도시지역의 환경정화 수종으로 적합한 수종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위영 박사는 포플러는 1990년대 이후 활발히 추진된 하천주변의 토목 공사로 인하여 서식지가 파괴되었지만, 최근 탄소배출권 확보에 기여하고 각종 오염물질 정화능력을 통해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조성되는 도시숲은 탄소흡수원 확충 및 한강변 환경정화를 통한 한강변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기여하고, 수질과 대기의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시민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19.04.01 12:32 수정 2019.04.01 12:3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