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수 역사 칼럼] 안골포해전의 경과와 승리 요인

이봉수

1592년 7월 8일(이하 음력) 한산대첩에서 승리한 이순신 연합함대는 견내량 안쪽 바다에서 진을 치고 밤을 새운 후 7월 9일 가덕도 방면으로 진출하려 했다. 이때 탐망군으로부터 안골포(경남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에 적선 40여 척이 정박하고 있다는 정보가 들어왔다. 이순신 장군은 곧바로 전라우수사 이억기, 경상우수사 원균과 함께 이들 적을 물리칠 작전 계획을 수립했다. 그런데 이날 날이 저물고 역풍이 세게 불어 거제 땅 온천도(거제시 하청면 칠천도)에서 밤을 지냈다.

10일 새벽에 온천도를 출발한 이순신 연합함대는 안골포 가까이 접근했다. 이순신 장군은 전라우수사 이억기를 시켜 안골포 바깥의 가덕도 주변에 머물게 한 후 전투가 시작되면 복병을 남겨두고 즉각 달려와 합세할 것을 지시했다. 이순신 장군은 전라좌수군을 이끌고 학익진으로 먼저 진격하고, 경상우수사 원균을 뒤따르게 했다. 안골포에 이르니 탐망군이 제보한 대로 왜군 대선 21척, 중선 15척, 소선 6척 등 42척이 머물고 있었다. 

그중에 3층으로 된 방이 있는 대선 1척과 2층으로 된 대선 2척은 포구에서 바깥을 항하여 떠 있고, 나머지 배들은 고기비늘처럼 가지런히 열을 지어 해안에 정박해 있었다. 그런데 안골포의 포구가 좁고 썰물이 되면 갯벌이 드러나 판옥선의 출입이 쉽지 않았다. 이순신 장군은 유인책을 썼으나, 적도들은 그들보다 먼저 나섰던 배들이 한산도에서 59척이나 궤멸 당한 것을 알고는 좁고 험한 지세에 의지하여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이를 간파한 이순신 장군은 여러 장수들에게 명령하여 교대로 포구를 출입하면서 적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각종 총통과 장편전 등을 쏘아대니, 전투가 시작된 것을 안 이억기 장군이 복병만 남겨두고 급히 달려와 합세했다. 방이 있는 대선과 2층 대선에 타고 있던 왜적들은 순식간에 거의 다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당황한 왜적들은 사상자들을 끌어내어 소선에 실어 후송하고, 다른 배의 왜적들을 소선으로 실어 날라 층각 대선에 병력을 충원하기 시작했다.

사진=코스미안뉴스 / 안골왜성에서 내려다본 안골포 전경


거의 하루 종일 전투를 벌여 20척 이상의 적선을 격파하자 남은 왜적들은 배에서 내려 육지로 도망쳤다. 그런데 이 일대 산속에는 조선의 피란민들이 많이 숨어 있었다. 조금 남은 적선까지 모조리 불태워 없앤다면 상륙한 적도들이 피란민들을 살륙할 것을 염려한 이순신 장군은 함대를 1리쯤 뒤로 물러나게 하여 밤을 새웠다.
 

다음 날인 11일 새벽 조선수군이 다시 돌아와 적진을 포위했다. 그러나 적은 이미 밤중에 허겁지겁 닻줄을 끊고 도망가고 없었다. 전날 전투를 벌인 곳을 탐색해 보니 전사한 적 시신을 12곳에 쌓아 놓고 불태웠는데, 남은 뼈와 손발들이 어지럽게 늘려 있었다. 포구 내외에는 적도들이 흘린 피가 가득하여 땅이 핏빛으로 물들어 있었다. 안골포에서 죽은 적의 숫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도망간 적을 추격해 나선 이순신 연합함대는 그날 오전 10시쯤 양산강(명지도 동측의 낙동강)과 김해포구(부산시 강서구 녹산동 성산 마을 일대) 및 감동포구(부산시 덕천2동 산93번지 일원의 구포왜성 아래 포구) 일대를 수색했으나 적의 종적을 찾을 수 없었다. 이순신 장군은 적의 소굴인 부산포와 가까운 가덕도와 동래 몰운대(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몰운대) 사이에 전선을 늘여 세워 진을 치고 위세를 떨쳤다.

이어서 이순신 장군은 주변 일대의 적을 발견하기 위하여 가덕도 응봉과 김해 금단곶(부산시 강서구 녹산동 산129-4번지 일대)으로 탐망군을 내보냈다. 11일 저녁 8시경 금단곶으로 나간 경상우수군 허수광으로부터 양산강(낙동강 본류)과 김해강(낙동강의 지류인 서낙동강) 일대의 으슥한 곳에 정박해 있는 적선 100여 척에 대한 정보가 들어왔다. 금단곶 연대로 올라가던 허수광이 산봉우리 아래 암자에서 한 노승으로부터 적의 동태를 전해 들었다. 그 노승은 근간에 날마다 왜선 50여 척이 떼를 지어 두 강을 드나들었으나, 안골포에서 포 쏘는 소리를 듣고 거의 다 도망가고 100여 척이 남아 있다고 했다.

그날 저물녘에 천성보(부산시 강서구 천성동)로 돌아온 이순신 연합함대는 그곳에 잠깐 머물면서, 마치 오래 머물 것처럼 적에게 기만전을 펼쳤다. 그러고는 어두운 밤을 이용하여 몰래 천성보를 빠져나와 12일 오전 10시쯤 한산도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한산대첩 당시 육지로 헤엄쳐 올라왔으나 굶어서 기진맥진해 있는 왜군 포로 400여 명을 원균에게 처리하도록 맡기고 이억기와 함께 전라도로 향한 이순신은 13일 여수로 복귀했다.

안골포해전은 한산대첩에서 패주한 적선 14척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전투다. 깊숙한 포구에 숨어 밖으로 나오지 않는 적을 공략하는데 적절한 전술을 구사한 것이 안골포해전의 승리 요인이다. 이순신 장군은 안골포의 지형과 적의 동태에 맞춰 일렬종대 대형인 장사진으로 포구를 들락거리며, 치고 빠지는 전법을 구사했다. 

전투 개시 전 탐망군으로부터 안골포에 적선 40여 척이 정박하고 있다는 정보를 미리 입수한 것도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정보전에 능한 이순신 장군은 안골포 해전 직후에도 낙동강 하구 일대를 수색하면서 탐망군을 적절한 장소에 내보내어 적정을 수집한 후 함대를 기동했다. 

안골포 앞 가덕도 주변에 전라우수군을 복병으로 배치한 후 전라좌수군과 경상우수군이 먼저 안골포로 진입한 것도 주요한 승리 요인이다. 만약의 경우 후방에서 적이 나타나면 이억기가 즉각 대응할 수 있고, 포구 안쪽에서 전투가 시작되면 소규모 복병만 남긴 채 바로 합세할 수 있는 예비대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순신전략연구소장 이봉수
https://yisoonsin.modoo.at

 

작성 2023.04.08 11:36 수정 2023.04.08 11:3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봉수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