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야기] 나는 대한민국의 마지막 선비다

한식 허가운군 여제우음 寒食 許稼雲君 與諸友吟

이은춘




寒食 許稼雲君 與諸友吟

한식 허가운군 여제우음

 

 

昨日淸明今日寒  작일청명금일한

招招朋友善相看  초초붕우선상간

詩逢優學能還拙  시봉우학능환졸

酒到情盃小亦寬  주도정배소역관

 

爲客途中春屬暮  위객도중춘속모

思先墓下拜無難  사선묘하배무난

于時回憶綿山火  우시회억면산화

一死忠廉孰不歎  일사충렴숙불탄

 

한식날 허가운 군과 여러 벗들이 모여

 

어제는 청명이요 오늘은 한식이라.

친구를 불러 모아 서로 보니 착하도다.

훌륭한 학자 만나 시는 오히려 부끄럽고

술은 정배주에 이르니 적어도 넉넉하네.

 

객지로 다니면서 청춘은 저물었으나

선대 묘소 생각하고 절하기는 어렵지 않네.

지금 다시 면산에 불 지른 일 생각하니

한번 죽은 충성과 청렴 누가 탄식 아니 하리.

 

 

주) 면산화 : 중국 춘추시대의 개자추(介子推)는 진나라 문공이 왕위에 오르기 전 아버지 헌공에게 추방되자, 19년 동안 망명생활을 하며 고생하였다. 그러나 문공이 귀국하여 왕이 된 후 다른 사람에게는 벼슬을 내리면서도 자신은 외면하자 면산(綿山)에 들어가 숨어 살았다. 이후 문공이 잘못을 뉘우치고 개자추가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면산에 불을 질렀으나 개자추는 나오지 않고 어머니와 함께 타 죽었다고 한다. 한식은 개자추가 타 죽은 것을 기리는 날로 이날은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는다.




[이은춘]  

해산 이은춘은 188112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11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19.04.08 17:16 수정 2019.04.09 10:5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