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기자: 서문강 [기자에게 문의하기] /
春宵獨吟 춘소독음
無人相問獨吟詩 무인상문독음시
不覺音調高與卑 불각음조고여비
修竹長春凌雪葉 수죽장춘능설엽
香梅先發向陽枝 향매선발향양지
風聲無力行千里 풍성무력행천리
雨色微寒動一時 우색미한동일시
夢裡慾聞啼曉鳥 몽리욕문제효조
月斜牕前夜遲遲 월사창전야지지
봄밤에 홀로 읊은 시
서로 묻는 사람 없이 홀로 앉아 시 읊으니
깨닫지는 못했지만 음성 곡조 높고 낮다.
대나무는 긴 봄에 잎의 눈을 녹이는데
향기로운 매화 먼저 피어 양지쪽을 향하였다.
바람소리 고요해도 천리를 지나가고
비는 차갑지 않고 일시에 움직인다.
새벽 닭 우는 소리 꿈에라도 듣고자 하나
창가에 기운 달빛 이 밤이 더디구나.
해산 이은춘은 1881년 12월 19일 경남 창원군 구산면 마전리에서 아버지 이영하, 어머니 정귀선의 제6남으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창원군 진북면 정삼리에 있었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청년시절에는 한강 정구의 후학으로 성리학을 공부하면서 교동향교에서 가운 허정덕, 화산 임재식 등과 함께 지역유림으로 활동하였다.
경남 일대의 수많은 재실과 정자, 사당에 상량문이나 현판 또는 기문으로 그의 족적이 남아 있다. 1966년 11월 7일에 생을 마감한 해산 이은춘은 근대 경남 지역의 대표적 유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