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디스 워튼(1862-1937)은 미국 뉴욕의 상류층 가정 출신이며 본명은 이디스 뉴볼트 존스으로 1878년 시집 ‘시 Verses’를 내며 문학계에 등단하였다. 23세의 나이에 13살 연상의 에드워드 워튼과 결혼하였고 이때부터 ‘이디스 워튼’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는데 결혼 후 남편과의 불화로 심한 신경쇠약을 앓았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여러 나라를 옮겨 다니며 생활하던 중 1905년 발표한 장편소설 ‘환락의 집’을 발표하면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헨리 제임스, 싱클레어 루이스, 앙들레 지드 등의 문인들과 교류했으며 1920년 뉴욕 상류 사회의 위선과 허위를 풍자한 소설 ‘순수의 시대’를 발표하고 대중적인 인기까지 얻으며 1921년 여성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하였다.
이 작품은 1917년 출간되었는데 19911년 출간된 작품 ‘이선 프롬’과 쌍둥이 또는 자매편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유는 두 작품 모두 뉴 잉글랜드의 시골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이선 프롬’의 남자 주인공 '이선'이 애정없는 결혼을 하고, ‘여름’의 채리티 또한 마음에도 없는 후견인이었던 ‘로열’과 결혼하는 점, 이선과 채리티가 또 다른 사랑을 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채리티는 현재 열 여덟 살의 여인으로 산에서 태어났지만 후견인인 ‘로열’ 변호사의 덕분으로 어릴 적 산에서 내려와 로열 변호사의 집에서 자랐다. 채리티가 태어난 산은 이 마을에서는 죄를 짓거나 무슨 문제가 있어 더 이상 마을에서 살 수 없는 사람들이 도망쳐 사는 무법 지대 같은 곳인데 술주정뱅이 범죄자였던 채리티의 아버지가 감옥에 가게 되자 변호사인 로열 씨에게 채리티를 산에서 데려가 키워 달라고 부탁했던 것이다. 로열은 부인이 죽고 채리티와 단 둘이 살게 될 때 채리티에게 청혼을 하지만 나이 차도 많고 후견인으로만 생각했던 로열 씨가 청혼을 하자 채리티는 그에게 환멸을 느끼며 경멸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홀로 설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도서관 사서로 일하던 채리티, 그때 도서관장의 조카이며 대도시 출신 건축가인 '루시어스 하니'라는 청년이 도서관에 오게 된다. 채리티는 책의 위치를 묻는 그와 눈이 마주치고 첫눈에 반해 사랑에 빠진다. 둘은 마을 곳곳을 함께 다니고 숲속을 함께 거닌다. 둘은 마을 사람들의 눈을 피해 밀회를 즐기나 시간이 갈수록 채리티는 하니와의 교육적 수준 차이, 신분과 계급의 차이 등에 대한 격차를 실감하게 되고 그러던 어느 날 하니는 일을 정리하러 한 두달 정도 떠나있어야 할 것 같고 돌아와서 결혼하자고 한다. 그러나 이 말은 채리티에게 굉장히 낮설게 들리는데 하니가 해결해야 할 일 중에는 그의 약혼 문제도 걸려있음을 알게 된다. 허니는 결국 채리티를 두고 떠난 후 돌아오지 않는다.
하니가 떠난 후 임신한 것을 알게 된 채리티는 하니에게 임신 사실을 숨기고 하니가 함께 뉴욕으로 떠났던 애너벨 볼치와 결혼을 하기로 했다면 하라고 편지를 쓴다. 그리고 문명을 등지고 살기 위해 자신이 태어났던 산으로 돌아가는데 산속의 집에 도착하여 엄마를 찾았으나 엄마는 엄마는 두 눈을 부릅뜬 채 넝마 같은 옷을 입고 죽어있었다. 채리티는 갈등한다. 자신이 태어난 곳에서 원시생활을 하는 비참한 무리의 생활이 싫고 도저히 그곳에서 적응할 수 없음을 알게 된 채리티는 뱃 속 아이를 위해서라도 산을 떠나기로 하고 산 중을 헤매던 중 채리티를 데리러 오던 로열과 만나 노스도머의 집으로 돌아가 그와 결혼하게 된다.
작품은 미국 문단에서 젊은 여성의 성장을 다룬 최초의 성장소설로 여겨지는데 지금이야 독신 여성, 한 부모 가정도 많고 낙태도 일반화되었지만 그 당시의 미국 사회는 채리티의 성적 자기 결정권만으로도 페미니즘을 선도한다고 할 시대 상황이었다. 결국 채리티는 자신의 사랑을 자신의 의지대로 결정했지만 결국은 세상을 혼자 헤쳐 나가지 못하고 순응하고야 만다. 아마 거친 세상에서 혼자 살아갈 수 없음을 알았을 수도 있고 배 속 아이를 위한 모성애였을 수도 있다.
작품은 미국 문학에서 여성의 성적 열정을 본격적으로 다룬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그렇다면 로열 변호사와는 어떻게 사랑 없는 부부생활을 할 것인가도 생각해 봐야 한다. 할아버지와 같은 로열 씨와 살면서 채리티는 행복할 수 있을까. 그것도 하니와의 사랑을 선택하고 결혼도 하고싶은 사람하고 하라고 편지를 썼던 것처럼 채리티의 주체적인 자기 결정일까. 여성 혼자의 힘으로 살아갈 수 없었던 시대에 자신의 운명에 대한 굴복일까. 이후의 삶이 채리티가 행복했는지 불행했는지는 모르지만 채리티의 선택은 존중받을만한 자기 결정이었음은 틀림없다.
[민병식]
시인, 에세이스트, 칼럼니스트
현)대한시문학협회 경기지회장
현)신정문학회 수필 등단 심사위원
2019 강건문화뉴스 올해의 작가상
2020 코스미안상 인문학칼럼 우수상
2021 남명문학상 수필 부문 우수상
2022 신정문학상 수필 부문 최우수상
이메일 : sunguy200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