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마도 해역 문화재 수중발굴조사

6월 말까지 고려·조선 고선박 탐색

태안 마도 조사지역 전경 / 사진 =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10일 오후 3시 개수제(開水祭)를 시작으로 6월 말까지 충남 태안군 마도(馬島) 해역에서 2019년 수중발굴조사를 진행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유물이 발굴된 암초 주변 해역에서 남서쪽 방향 약 4,000㎡ 범위에서 약 2달간 이루어지는데, 고려ㆍ조선 시대 고 선박과 유물, 당시 이 지역을 드나들던 중국 선박과 도자기 등이 추가로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마도해역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고려·조선 시대 청자, 분청사기, 닻돌 등 총 90여 점의 수중유물과 더불어 중국 복건성(福建省)에서 제작된 중국 송원(宋元)대 도자기, 북송(北宋)대 동전인 원풍통보(元豐通寶), 묵서명(墨書名) 도자기 등을 발견해 인양하였다. 특히, 선박의 정박용 도구인 닻돌이 15점 출수되어 마도 해역이 풍랑을 피해 대피하던 곳이자 정박지임을 확인하였다.


태안 마도해역은 물살이 거세어 예로부터 해난사고가 잦았던 곳으로 특히, 고려와 조선시대 세곡을 나르던 조운선의 무덤으로 유명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392년(태조 4년)부터 1455년(세조 1년)까지 60여 년 동안 200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안 안흥량(安興梁)에서 침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런 기록을 뒷받침하듯 태안 마도해역에서는 2007년부터 고려 시대 선박인 마도1‧2‧3호선, 조선 시대 선박 마도 4호선과 유물 총 3,500여 점이 발굴되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수중문화재 보고(寶庫)이자 국제적 해상 교역로의 중간 기착지였던 태안 마도해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정명 기자
작성 2019.05.13 07:22 수정 2019.05.13 07:2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5년 7월 31일
구름 이름은?
무궁화
2025년 7월 28일
2025년 7월 17일 꿈꾸는씨앗결손아동후원하기
라이브커머스 전성시대 케이미디어스튜디오와 함께하세요 #ai영상
여름하늘
아기고양이가 세상을 배워가는 방법
장마가 만든 탁류
2025년 7월 26일
새의 영토
대구변호사 | 성매매 장부 적발! 처벌 피할 수 있을까? #shorts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