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에서 조선 왕세자의 흔적을 찾다

‘왕세자의 공간, 경복궁 계조당’ 전시(11.15.~12.18.)… ‘왕세자의 일상’ 해설·체험 프로그램도

 

1월 1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세종이 왕세자 집무공간으로 건립했던 계조당의 복원을 기념하고, 그 역사적 가치를 알리기 위해 경복궁 계조당에서 ‘왕세자의 공간, 경복궁 계조당’ 전시를 개최한다. 운영 시간은 10:00∼16:00이며 경복궁 휴궁일(매주 요일)은 관람이 불가하다.

계조당은 1443년(세종 25) 세종이 왕세자(훗날 문종)의 집무 공간으로 건립하였으며, 문종은 이 공간에서 정무를 보거나 외국 사신을 접견했다. 문종의 생전 뜻에 따라 1452년(단종 즉위년)에 철거되었으나, 1868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어지면서 당시의 왕세자였던 순종이 사용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완전히 철거되었던 것을 문화재청이 발굴조사를 거쳐 올해 9월 복원을 마쳤다.

경복궁 계조당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 조선의 왕세자 ▲ 계조당의 왕세자 ▲ 왕세자의 의장 ▲ 동궁과 계조당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 ‘조선의 왕세자’에서는 왕세자의 일상과 의례를 살펴볼 수 있다. 조선왕실에서 왕세자를 책봉할 때 거행했던 책봉례에서 임금이 왕세자에게 내리는 교명, 죽책, 옥인 등의 복제유물과 성균관 입학례, 성인식인 관례 등 왕실의 공식 의례 장면을 담은 그림으로 구성된 무인 단말기(키오스크)를 설치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 ‘계조당의 왕세자’에서는 계조당을 업무공간으로 사용했던 두 명의 왕세자를 다루었다. 세종의 맏아들로 1421년 왕세자로 책봉된 문종(재위 1450~1452)과 고종의 아들로 1875년 왕세자로 책봉된 순종(재위 1907~1910)이다. 특히, 문종은 30여 년 동안 왕세자로서 세종이 이룬 많은 업적에 함께 했으며 1442년부터는 왕의 업무를 대신하기도 한 만큼, 문종이 직접 쓴 글씨와 측우기로 그의 업적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왕세자와 황제 시절의 순종도 사진으로 만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 ‘왕세자의 의장’에서는 왕세자가 행차할 때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들었던 의장물인 ‘기린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행렬 모습을 그린 그림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상을 보며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 ‘동궁과 계조당’에서는 계조당 촉각 모형을 직접 만져보며 경복궁 내 동궁과 계조당의 위치, 모양을 더욱 생생하게 체험하고, 계조당의 복원 과정을 담은 영상을 통해 계조당의 탄생부터 훼철, 복원에 이르는 과정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와 연계해 동궁 권역과 전시를 해설을 들으며 관람할 수 있는 ‘왕세자의 일상’ 해설 프로그램과 3차원(3D) 측우기 만들기 체험도 진행된다. 해설 프로그램은 사전예약이 필요하지만, 전시 관람과 측우기 만들기 체험은 기간 동안 누구나 예약없이 참여할 수 있으며, 전시와 해설, 체험 등은 전부 무료이다. 해설 프로그램 예약은 오는 11월 14일(화) 오후 2시부터 티켓링크(http://www.ticketlink.co.kr)를 통해 회차당 15명씩 선착순 신청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cha.go.kr),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www.chf.or.kr)을 참조하거나 전화(한국문화재재단 문화유산활용실 ☎02-3210-4806)로 문의하면 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를 통해 경복궁 복원의 의미와 계조당의 역사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복원된 궁궐 전각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국민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작성 2023.11.15 09:20 수정 2023.11.15 09:5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너가 들어주면 좋겠어..마음을 전하고 싶을때 들려주는 노래
2025년 8월 21일
햇살과 매미 소리
광복 80년 만에 졸업장 받는 독립운동가들 / KNN
사진 한 장 없는 독립투사의 마지막 한 마디 #광복절 #독립운동 #독립운..
[자유발언] 국악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나팔꽃
차은우급 아기냥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