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민족대표 33인 유족 중 한용운 선생 자녀 한영숙 여사 위문

독립 선열들의 희생·헌신 기억하고 후손 예우에도 최선

독립운동가 겸 시인 한용운

 

제105주년 3·1절을 맞아 27일(화) 오후 대전(유성구)을 찾아 민족대표 33인의 유일한 자녀 유족인 한용운(‘62년, 대한민국장) 선생의 자녀 한영숙(만89세) 여사를 위문한다. 

 

한용운 선생은 1919년 독립선언서 초안을 검토한 뒤, 3월 1일 인사동의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을 대표하여 인사말을 하는 등 독립선언식을 끝내고 만세삼창을 외친 뒤 출동한 경찰에 체포됐다. 한용운 선생은 당시 불교계 대표로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3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도 지속적으로 조국독립을 위해 노력한 한용운 선생은 1926년 시집「님의 침묵」을 발간하여 저항문학에 힘썼고, 이후 문학운동과 불교혁신운동에 전력하다 1944년 서울 성북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강정애 장관은 이날 한영숙 여사 자택에서 대통령과 장관 명의의 위문품을 전수하고 환담을 나누고 고령에 따른 건강 등 불편한 점이 없는지 살필 예정이다. “3‧1독립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에 맞서 독립의 희망을 이어가는 힘의 원천이었다. 국가보훈부는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선열들을 기억하고 기리며, 그 후손분들에 대한 예우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작성 2024.02.27 10:00 수정 2024.02.27 10:1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