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르면 다른곳이 부풀어 오르는
풍선효과
-문제를 해결하면 또다른 문제가 새로 생겨나는 현상
풍선의 한곳을 누르면 어떻게 될까요? 다른곳이 불룩해지겠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특정 분야의 뮨제를 해결하면 또 다른 분야에 문제가 생기는 현상을 풍선효과(balloon effect) 라고 한다.
이표현은 미국에서 생겼다.외국에서 밀수입되는 마약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미국정부가 마약수입 의심국으로 지목한 몇몇 중남미 국가에 대해 통관 절차를 대폭 강화하는등 강력한 단속작업을 벌인 적이 있다. 미국 정부는 이조치로 미국내 마약거래가 사라질것으로 기대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마약 밀매업자들이 남미의 다른 지역으로 옮겨 미국내로 계속 마약을 반입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볼수있는 풍선 효과의 예로 부동산 정책을 들수있다.
정부가 특정지역의 집값이 급등하는 것을 막기위해 규제를 강화하면 부동산 수요가 다른지역으로 몰리면서 다른 지역의 집값이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담배시장에서도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있다. 2015년 정부는 우리나라 흡연인구를 줄이기위해 담배값을 기존 가격에서 2배가량 인상했다. 하지만 담뱃값 인상후 전체 담배 판매량은 줄었지만 면세점용 담배 판매량은 무려 43%나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흡연을 억제하기위해 국산 담뱃값을 인상했지만 골수 흡연계층이 담배를 줄이거나 금연하기 보다는 면세점 담배 판매창구로 몰리는 풍선 효과가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