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가 지나갔다. 홍조 띤 봄을 품고 변심한 바람에 힘껏 항거한다.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의미일까. 걸어둔 패딩 잠바를 다시 꺼내서 입는다. 평생 친구이자 길잡이인 동생과 역을 향해 출발한다. 싸늘한 냉기가 흐르는 바깥임에도 성큼 봄을 마중 나온 성미가 급한 사람들이 보인다. 옷차림이 현란하다. 깃 없는 코랄 재킷, 반짝이 핑크 트위드 상의, 베이지색 트렌치코트가 어색하지 않은 건 춘삼월이 일주일밖에 남지 않았음이리라.
예약된 정기 검사가 있어 대학병원으로 향하는 길이다. 주기적인 추적 검사는 표준치료에 뒤따른 조치이다. 활시위를 당기는 달갑지 않은 촉박함을 보태고 싶진 않다. 안 그래도 병원 소독약 냄새에 불안이 고개를 쳐들지 않던가. 넉넉한 시간을 확보했기에 심신이 여유롭다. 시간에 예민한 동생에 맞춘 일정표가 커피를 대접한다.
생로병사는 숨 탄 것들의 숙명과도 같다. 세상에 질병이 많기도 하다. 유명 맛집으로 착각할 만큼 올 적마다 병으로 고통받는 이가 많음을 체감한다. 관리 대상인 예후는 삶의 질을 벼랑으로 떨어뜨리는 요인 중에서도 최고봉이 아닐까. 외래 건물에 있는 영상 의학 센터는 아동 병동을 건널목처럼 사이에 두고 있다. 무심코 시선을 비껴간다. 세상의 때라곤 찾을 수 없는 티 없는 어린아이가 링거를 꽂은 채 지나간다. 잘 깎아놓은 밤톨 같은 두상에는 외모를 빛내는 머릿발이라 칭하는 그 한 가닥이 없다. 행여나 모르는 사이에 연민이 스친 내 눈빛을 발견하진 않을까. 그것이 못내 두렵다.
오늘은 생각보다 일찍 검사를 마치려나 보다. 예약 시간보다 일찍 당도한 접수처에서 번호표를 뽑았다. 고맙게도 앉은 지 얼마 되지 않아 호명한다. 동생이 탈의실에 들어간 사이 나는 소지품을 챙긴다. 발등에 주삿바늘을 달고서 절룩거리며 나타난 동생을 본다. 얼른 일어나서 부축해 검사실에 들였다.
낯선 여인이 다가왔다. 팔오금에는 주삿바늘을 꽂았다. 화장기라곤 없는 얼굴에 핏발 선 눈이 언뜻 보인다. 초면인 내게 서슴없이 말을 건넨다. 새벽에 부산에서 상경했다고 한다. 얼마나 말이 고팠으면 생판 남에게 경계가 없을까. 자신의 일정을 줄줄 읊는 여인에게서 나는 독거노인인 엄마를 본다. 얼추 오십 대 후반으로 보인다. 뇌종양을 앓았다는 과거형에서 표정을 얼른 갈무리한다. 기운차게 항해하는 그녀의 언어의 바다에서 나보다 어리다는 단어를 낚는다.
동행이 있음은 누군가에겐 부러움의 대상이다. 여인은 혼자 왔다. 동생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를 챙기는 그림이 썩 괜찮았나 보다. 진단 후 혼자서 수없이 열차를 탔다고 한다. 씩씩한 기상이 넘친다. 그녀의 일신상의 정보들이 주저 없이 자진 투신한다. 내가 캐낸 게 아닌 스스로 떨어져 나온 것들이 차곡차곡 눕는다. 그녀의 눈가에는 말투와 다른 농도 짙은 쓸쓸함이 겉돌고 있다.
갓 잡은 해산물일지라도 장기간 냉장고에 방치하면 부패한다. 몸 어딘가에 방치된 말도 상하지 않을까. 티키타카와 동떨어진 섬에서 쌓은 말들이 두터워지면 세균이 번식하는지도 모른다. 공간을 환기하듯 말을 신선한 것으로 바꿔줘야 하지 않을까. 불면에 새벽을 뚫고 상경했을 그녀가 보인다. 장시간 이동한 이의 묵은 말을 빼는데 협조하리라.
공감이란 적극적인 경청이다. 얼마나 오래 묵혔을까. 얼마나 켜켜이 쌓았으면 속사포로 연발할까. 그녀의 메마른 눈동자에 차츰 물기가 돈다. 이 순간 동생이 조금 늦게 나와야 하지 않을까. 문득 생각이 오지랖을 넓힌다. 나는 고개를 연신 주억거리며 추임새로 간을 맞춘다. 대기 좌석에 사람들이 꽤 있음에도 홀로 앉은 이는 없다. 그녀의 신상 명세가 이력서인 양 내 옆에서 한 줄씩 늘어난다. 남은 시간이나마 그녀의 허한 말풍선에 경청을 넣어 허공에 띄워 주고 싶다.
그녀는 전사인 듯하다. 그녀의 말을 빌자면 남자도 하기 힘든 몸과 기술로 벌어먹고 사는 이다. 몹시 씩씩한 그녀를 기계 조립이란 생업이 뒷받침한다. 일정을 마치면 부산행 열차에 오르고 삼일절에 다시 상경해야 한다. 거스러미 이는 일을 해도 마음을 연약하게 만드는 백색 병원이다. 분지에서만 산 나는 바닷가에서만 산 그녀에게 소량의 말을 주고 다량을 받는다. 할 수 있는 최대의 친절인 말 줄임표를 늘린다.
이야기를 상실한 삶은 빈곤한 삶이다. 혼자 살 순 있겠지만 소통은 원활해야 한다는 것을 절실히 느낀다. 늙을수록 입은 줄이고 지갑을 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싱겁다고 웃을 수만은 없는 슬픈 말이다. 이상하게도 지갑보다 입을 벌리게 된다. 받는 이는 적은데 발설하고자 하는 이는 늘어난다. 글도 그러하다. 요즘은 독자보다 작가가 많다고 하지 않던가. 배설이 목마른 세상에서 나는 살고 있다. 하나인 이유가 특별한 입은 닫고, 귀를 쫑긋 세워야겠다.
만남이 희박한 이는 누적된 말을 덜기 좋은 상대일지 모른다. 감흥 없는 긴 인연보다 짧아도 밀착한 밀도의 말이 기운을 주나 보다. 상하기 일보 직전인 말을 쏟아내도 거부하지 않는 반응에 공백이 없다. 낯선 나는 말을 곱씹어 곡해하지 않는다. 문 앞까지 따라 나와 배웅하는 그녀에게서 배설 뒤에 따르는 평안을 본다.
동생 혼자 보내기 싫어 동행한 병원에서 끈 없는 이와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기우는 장사에도 기분 상하지 않은 창을 연다. 정담이 고픈 이가 많은 세상이다. 말 잘 주워 담을 몸의 창을 기울이면 그것도 보시하는 것이 아닐까.
[민은숙]
시인, 칼럼니스트
코스미안상 수상
중부광역신문신춘문예 당선
환경문학대상
직지 콘텐츠 수상 등
시산맥 웹진 운영위원
한국수필가협회원
예술창작지원금 수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