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null in /home/ehom/public_html/stats/a.news_hit_update.php on line 24

[항간세설] 어디에 도착할는지는 모르는 일이다

이태상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의미 없고 형태 없는 혼돈의 카오스Chaos에서 질서 정연하고 아름다운 우주 코스모스Cosmos가 생겼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코스모스란 단어와 화장품이란 뜻의 코스메틱스cosmetics의 어원이 같은가 보다.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에게도 큰 영향을 준 19세기 러시아의 철학자 니콜라이 페도로비치 페도르브Nikolai Fedorovich Fedorov (1829~1903)는 인류가 당면한 가장 절실한 문제는 죽음이고 이 죽음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라고 했다.

 

우리가 우리 부모로부터 우리 생명을 받았으니 부모에게 생명을 돌려드리는 것이 자식 된 우리 의무이자 도리라고 그는 주장했다. 그에게 있어 죽음이란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들과 미세분자molecules의 해체를 의미할 뿐이다. 따라서 해체된 이 모든 요소와 분자들을 다시 제대로 조합만 하면 잃어버렸던 생명을 되찾게 될 것이라고 그는 믿었다. 해체 분해된 분자들은 지구를 떠나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떠돌다가도 어쩌면 다른 별에 정착해서 다시 생명체로 부활할 수 있으리라고 페도로브는 생각했다.

 

지구에서 태어나 살다 죽은 생명체들이 다른 별로 이주해서 생명이 연장되고 영생불멸한다는 얘기다. 이는 모름지기 동물, 식물, 광물, 아니 생물, 무생물 가릴 것 없이, 우주만물이 우주 생명체의 DNA란 말이리라. 우리 의식이 어떻게 우리 두뇌로부터 생기는지 아직 과학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우리가 지구 어디에 살고 있든 우리는 이미 인공지능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같은 것을 보고 느끼며 소통하고 있지 않나. 그야말로 전광석화처럼 사회적 내지 영적으로 교신하고 교감하게 되었다.

 

자아란 것이 하나의 환상이고 환영에 불과하다면 이 자아의식이 어떤 기구나 기관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이동하고 전달되던 무슨 상관이 있으랴.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터Drosophila melanogaste라 불리는 과실 파리가 있다. 유전연구대상이 된 이 해충은 135,000개의 뉴론neurons와 시냅시스synapses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년 내에 그대로 복제가 가능하리라고 과학자들은 내다본다. 어떻든 인간의 두뇌는 거의1천억(100 billion)개 뉴론을 갖고 있는데 이 숫자는 은하계에 있는 별들의 숫자와 맞먹는다고 한다. , 그래서 영국의 시인 새뮤엘 코울리지Samuel Coleridge (1772-1834)도 그의 일기장에 이렇게 적었으리라.

 

내 다정한 친구야! 뭐든 꾀한다고 부끄러워할 거 없다. 4000년도 못산다고 생각할 수 없지. 그 정도만 산다 해도 네가 하고 싶은 일 다 할 수 있지 않겠니. 정녕코, 그만큼 살더라도 네가 하는 일에 더러 문제가 좀 생기겠지만 걱정 마라. 항상 낙관하고 꿈꾸다 죽거라! My dear fellow! never be ashamed of schemingyou can't think of living less than 4000 years, and that would suffice for your present schemes. To be sure, if they go on in the same ratio to the performance, then a small difficulty arises; but never mind! look at the bright side always and die in a dream!

 

콜럼버스가 그랬듯이 우리도 어디로 향하는지는 막연히 안다 해도, 어디에 도착할는지는 전혀 모르는 일이어라.

 


편집부 기자
작성 2019.07.25 08:04 수정 2019.07.25 08:0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