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우 기자의 人사이드] 탈북민 강영화(2)

 

지난주 기자가 첫 게재한 기사를 탈북민 강영화와의 인터뷰 기사로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고 싶다.

 

이는 '코스미안 뉴스'와 함께 기자 생활을 시작하게 된 계기와 관련이 있는데, 신문사 제호인 '코스미안'이라는 신조어가 의미하듯 답습된 통념이 아닌 자유의지로 시작된 우주적 인간이 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 생각은 우주 속 티끌의 때의 먼지만큼도 안 되는 이 작은 세상에서 네편, 내편을 가르고 이념이 마치 세상의 큰 보편적 기준인 냥 사람과 사건을 평가 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라는 고민에서부터 시작 되었다.

 

탈북민 강영화는 티끌 같은 이 세상이 만들어 낸 이념이라는 칼의 가장 날카로운 끝을 건너온 작고 어린 그러나 대단한 청년이다.

 

몸에 생채기를 내며 칼끝을 건넜지만 그 생채기가 아물기도 전 자유의 세상에서 생긴 또 다른 상처들로 굳은살이 베긴 존재이다.

 

누구도 ''''로 태어나는 것을 선택 할 수는 없다. 강영화도 이념적 대립이 가장 심한 이 땅의 북녘에서 태어나고 싶지는 않았을 것이다.

 

강영화는 생명의 위협 속에서 북한을 탈출했고, 대한민국에 정착하기 전 인신매매를 두 번이나 당할 뻔 한 위기에서 또다시 탈출했다. 대한민국에 와서는 편견과 선입견이 만들어 낸 날카로운 시선에 여전히 고통 받는다.

 

강영화는 우리네 20살 젊은 여성과 다르지 않다. 꾸미기 좋아하고 셀카찍기 좋아하며 남자친구와 주말에 뭐 할지를 고민한다. '카톡 프사'는 일주일에 다섯 번은 바뀌는 것 같다.

 

그는 우리네 20살 어린 대학생과 같은 모습으로 살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안에 만들어진 보이지 않는 울타리에 갇혀 사는 탈북민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지구 공동체라는 큰 꿈의 작은 시작을 이야기해 보고 싶다.

 

기자가 강영화와의 인터뷰 기사를 연재하고자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선우 기자
작성 2019.07.29 22:16 수정 2019.07.30 07:5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선우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